한국투자증권이 내부통제 강화에 더욱 고삐를 조일 전망이다. 펀드 불완전판매에 따른 금융당국의 제재 여파로 최근 ESG 지배구조 부문 등급이 하향 조정되는 뼈아픈 결과를 받아들었기 때문이다./한국투자증권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한국투자증권이 내부통제 강화에 더욱 고삐를 조일 전망이다. 펀드 불완전판매에 따른 금융당국의 제재 여파로 최근 ESG 지배구조 부문 등급이 하향 조정되는 뼈아픈 결과를 받아들었기 때문이다.

◇ ESG 지배구조 분야 등급 하락… 팝펀딩 제재 발목 

ESG 경영은 기업 경영의 최대 화두가 됐다. ESG는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어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를 일컫는다. 과거에는 기업 가치를 평가할 때, 실적 등 재무적 요소만을 중요하게 여겼으나 2010년대 후반 들어선 비재무적 요소인 ESG 중요성이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 같은 ESG가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핵심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기업들은 ESG경영에 강화에 나서고 있다. 

한국투자증권도 그간 ESG 경영 확립을 위해 선제적으로 움직여왔다. 2020년 8월 증권사 중 가장 먼저 석탄 관련 투자 중단을 선언한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5월엔 ESG 관련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ESG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체계적인 ESG 전략을 전개하기 위한 기반 마련에 적극 나선 것이다.

그런데 최근 한국투자증권이 ESG 지배구조 부문 평가에선 등급이 하향 조정되는 다소 아쉬운 결과를 받아들어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은 ESG 등급위원회를 개최해 한국투자증권 등 7개 기업의 ESG등급을 하향조정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은 지난 4월 진행한 2022년 2분기 등급 조정 이후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확인된 ESG 위험을 반영해 평가기업에 대한 3분기 등급 조정을 실시했다. 

ESG 등급(개별 등급 및 통합 등급)은 △S △A+ △A, △B+ △B △C △D 등 7등급으로 구분된다. 3분기 등급 조정 결과, 환경경영(E) 분야에선 1개사, 사회책임경영(S)과 지배구조(G) 분야에선 각각 3개사 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한국투자증권의 지배구조분야 등급이 기존 B+등급에서 B등급이 낮아졌다. 불완전판매로 인한 금융감독원 제재가 등급 조정에 쟁점 사항으로 작용됐다. 이에 대해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측은 등급 조정 사유에 대해 “펀드 불완전 판매로 인한 금융소비자 피해와 내부통제 미흡”이라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4월 한국투자증권에 대해 펀드 불완전판매와 관련해 기관주의와 과태료 29억2,000만원을 제재를 내렸다. 금감원은 한국투자증권에 대한 검사 결과 펀드 판매 시 적합성 원칙 위반, 설명 확인 의무 위반, 부당권유 금지 위반 사례 등을 적발했다. 

한국투자증권은 ‘팝펀딩’과 연계된 펀드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논란을 샀다. 팝펀딩 펀드는 홈쇼핑에 납품하는 업체의 판매 물품을 담보로 자금을 빌려주고 판매가 완료되면 투자 수익을 돌려주는 구조의 상품이다. 팝펀딩 업체들이 담보물 수량을 조작해 투자유치를 받는 방식으로 펀드 돌려막기를 하면서 대규모 부실이 발생했다. 이후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가 발생하면서 투자자들이 피해가 이어졌고 금융당국은  팝펀딩 펀드 판매사 중 한 곳인 한국투자증권의 불완전판매 책임을 물어 제재를 내렸다. 

다만 제재 수위는 당초 사전통보(기관경고) 조치보다 한 단계 낮아진 ‘기관주의’로 결정됐다. 제재 처분 경감엔 한국투자증권의 피해자 구제 노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됐다. 한국투자증권은 팝펀딩 등 부실 사모펀드에 대해 전액보상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해당 제재 이슈로 지배구조 부문 등급이 낮아지자 한국투자증권 측은 다소 아쉬움을 표했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상반기에 팝 펀딩 건과 관련해 제재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피해자 구제에 적극 힘썼다”며 “이와 관련해 투자자와 분쟁도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국투자증권 측은 지속적으로 내부통제 강화에 힘쓰겠다는 입장이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직원들에게 내부통제 기준 및 윤리강령 준수를 강조하고 있고 교육도 꾸준히 진행 중”이라며 “이런 노력으로 사내 윤리강령 위반 사례는 작년과 올해는 한 건도 없다. 앞으로도 보완해야 할 부문이 있으면 보완해 내부통제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