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가 의원총회에서 만나 현안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전 대표의 명운을 건 대치상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비상대책위원회’ 카드가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했다. 최후통첩이 거부된 안철수 전 대표의 탈당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당이 쪼개지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새정치연합 최고위를 두 번이나 보이콧한 이종걸 원내대표는 9일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수도권을 포함한 과반이상의 위원들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위기를 돌파하는 게 좋겠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며 “이는 문재인 대표의 사퇴를 의미하는 것이고, 안철수 전 대표도 (혁신전대) 입장을 내려놔 달라는 것”이라고 전했다.

◇ 비대위 체제 급부상, 분당 막기 위한 주류와 대안 없는 비주류의 이해합치

전날 최고위원직을 사퇴한 주승용 의원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비대위 출범을 촉구했다. 주 의원은 “우리 당에 속칭 주류-비주류, 친노-비노라는 계파가 있다. 이것을 인정하고 친노에서 한 세 분, 비노에서 한 세 분 정도 지역별 세대별 형평을 맞춰 임시지도체제를 3개월간 이끌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수도권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의원들도 이날 오전 회동을 갖고 새로운 지도체제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들은 문 대표와 안 전 대표의 갈등을 해소하고, 안 전 대표의 탈당을 막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는 데 주류-비주류를 가리지 않고 목소리를 함께했다.

뿐만 아니라 원외당협위원장들도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전 대표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두 사람의 양보를 촉구했다. 문 대표는 현 새정치연합 분란의 책임을 지고 안 전 대표와의 혁신연대를 이뤄야 하고, 안 전 대표는 탈당을 해선 안 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여기에는 기동민 전 서울시정무부시장과 금태섭 전 대변인 등 박원순‧안철수계 인사들이 포함됐다.

이 같은 비대위 체제는 주류와 비주류의 이해관계가 합치되는 지점에 있다. ‘대안’이 없던 비주류와 ‘안철수 탈당’을 막아야 하는 주류의 입장이 ‘비대위’ 구성에서 일치하는 것. 조국 전 혁신위원도 “YS-DJ의 후과를 잊어서는 안 된다”며 비대위 체제를 제안한 바 있다. 다만 현재까지 문 대표 등 주류 측은 ‘비대위’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주승용 의원은 전하고 있다.

▲ 안철수 전 대표는 '혁신전대' 재고요청 이후 사흘째 칩거를 이어가고 있다. 문재인 대표와의 대치양상이 심해지자 당 안팎에서는 양측 모두의 양보를 촉구하는 상황이다.
◇ 비대위 출범 후 문재인ㆍ안철수 포함 ‘중진 험지출마’가 최선의 해법

한편 비대위 체제 출범으로 일시적 봉합에 성공하더라도 총선승리를 위해서는 근본적인 해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비대위 출범 역시 국민적 시각에서는 총선을 앞두고 ‘공천지분 나눠먹기’로 비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중진들의 험지출마론’ 등이 제기되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사실 새정치연합의 이번 분란사태도 따지고 보면 본질은 공천권과 관계가 깊다. 혁신안에 규정된 하위 20% 컷오프가 논란의 핵심이다. 문 대표 등 주류 측은 “하위 20%에 포함될까봐 당을 흔들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고, 비주류 측은 “혁신안을 핑계로 문 대표가 독주체제를 구축하려 한다”고 항변하는 상황이다.

결국 양측이 신뢰를 공고히 하고 국민적 지지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주류-비주류 모두 기득권을 내려놔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문 대표는 대표직을 내려놓고 서울이나 부산 등 어려움이 예상되는 지역에 출마해야 한다는 것. 여기에는 안 전 대표를 포함해 혁신안대로라면 공천이 어려운 박지원‧신학용 의원 등 중진도 해당된다.

정가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대표가 부산출마로 ‘낙동강 벨트’를 형성, 바람을 일으킨 전례를 상기해야 한다. 현 새정치연합의 분란을 마무리할 수 있는 것은 중진급의 험지 출마 밖에 없다”며 “중진들의 험지출마론으로 총선에서 바람을 일으키고, 당 지도부는 비대위 체제로 세대별‧권역별 책임자를 두는 게 최선의 해법”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