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 권영수 부회장.
[시사위크=장민제 기자] 정부가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에 대한 인가심사에 착수한 가운데, LG유플러스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이들의 인수합병 저지에 총력을 가하는 모양새지만, SK텔레콤이 조건부 인가라도 받을 시 LG유플러스도 몸집불리기에 나서야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그런 상황이 도래해도 이동통신사 중 LG유플러스만이 인수주체 자격을 갖기에 LG유플러스도 크게 불리할 게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 SK텔레콤-CJ헬로비전 인수합병, 어떤 단서 달릴까

SK텔레콤은 지난 1일 케이블TV업계 1위 업체 CJ헬로비전 인수·합병 건에 대한 계획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인가 열쇠를 쥐고 있는 정부 측은 면밀한 검토를 해보고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SK텔레콤은 이번에 CJ헬로비전을 인수해도 유료방송시장에서의 합산규제 한도인 점유율 33%를 넘기지 않는다. 이번 인수합병건에 현행법상 명확하게 저촉될 사항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다만 전기통신사업법 상에는 사업자들 간의 인수합병이 기간통신사업의 경쟁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게 돼 있어, 정부가 조건부 인가를 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 인수로 케이블방송 산업의 발전에 힘쓸 것이라 밝힌 만큼, CJ헬로비전 케이블가입자들이 SK텔레콤 IPTV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도 제기되고 있다. 물론 소비자 선택권 제한이란 논란이 발생해 쉽게 실행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

그러나 SK텔레콤이 이동통신시장에서의 시장지배력을 유료방송에도 전이시킬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상황에, 정부도 가벼운 조건을 내 걸 순 없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앞서 지난 2008년 SK텔레콤은 하나로텔레콤을 인수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장점유율 50%를 넘겨 논란이 됐지만, 정부는 농어촌 지역에 광대역통합정보통신망 구축, 이동통신 재판매 금지 등을 조건으로 승인해준 바 있다.

◇ 고심 커지는 LG유플러스, 인수 나설까

이에 따라 업계에선 LG유플러스도 인수합병을 통한 몸집불리기 등 돌파구를 마련해야 되지 않겠냐는 말들이 나온다. 콘텐츠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선 가입자 수 등 일정규모 이상이 중요한데, 이번 인수 건이 성사되면 이동통신3사 중에선 LG유플러스 홀로 하위권(7.6%)에 남기 때문이다.

마침 케이블 업계 1위인 CJ헬로비전의 경영권(53.9%)이 1조원 가량에 팔린 것은 LG유플러스에겐 호재다. 또 이동통신사 중 LG유플러스만이 매수자로 나설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작용한다. KT는 유료방송시장 점유율이 29%에 달해 합산규제 한도인 33%를 코앞에 두고 있다.

다만 갑작스런 인수전에 참여함으로써 LG유플러스가 당초 계획했던 사업방향에 차질이 생기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LG유플러스는 내년도부터 권영수 부회장 체제하에 IoT 및 B2B사업으로 체질개선을 꾀할 것으로 보였다. 이는 LG그룹 차원서의 신성장동력 확보 흐름에 LG유플러스도 따라가지 않겠냐는 관측으로, 실제 LG유플러스는 내년도 홈 IoT 서비스 종류를 두 배 이상 늘린다고 밝힌바 있다.

물론 LG유플러스도 컨텐츠 확보 등 IPTV 사업 확장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케이블 업체 인수가 사업방향에 문제될 건 없다. 다만 인수로 인해 조직이 확대됨에 따라 재정비를 해야된다는 점과 더불어 비용부분이 문제다.

CJ헬로비전 보다 규모가 작다지만, 케이블 업체의 인수엔 적게는 수천억원 부터 많게는 수조원까지 필요하다. 기존 투자포트폴리오에 큰 변동이 불가피 하다는 것이다. 특히 내년 상반기엔 2.1GHerz대역 20메가헤르츠(MHerz) 주파수 경매가 예정돼 있어 권영수 부회장의 고심이 커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