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사태 이후 취해진 대북교역 제재 조치로 남북경협기업의 평균 피해액이 20억원에 다다르며 10곳 중 6곳은 피해회복이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3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대북사업 기업 200개사를 대상으로 ‘남북경협기업의 경영실태와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대북제재 조치로 인한 현재까지의 피해회복 여부를 묻는 질문에 61.8%가 ‘회복이 상당히 어렵다’고 답했다.

‘조금 회복됐다’라는 기업은 24.8%였고 ‘이미 회복했다’는 기업은 13.4%에 그쳤다.
 
대북제재로 인한 피해액수는 업체당 평균 19.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0년 5·24대북제재 조치 직후(평균 9.7억원) 조사때 보다 두 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이와 관련 대한상의는 "대북제재 이후 시설 유휴화에 따른 고정비 지출과 물품반입 중단에 따른 매출감소, 수익저하가 계속 누적되면서 폐업하거나 도산하는 기업들이 속출하고 있다"면서 "남북경색이 풀리지 않는 한 경협기업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라고 우려했다.
 
피해유형으로는 ‘수주 및 주문 감소’(33.2%)가 가장 많았고 이어 ‘투자비 손실’(21.2%), ‘원자재 및 생산비 상승’(16.8%), ‘대출금·이자의 증가’(16.8%), ‘신용등급 하락’(7.2%) 등의 순이었다.
 
대다수 기업들은 경영난을 타계할 대책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북제재 조치에 대한 대책이 있는지를 물은 결과, ‘없다’라는 응답이 69.2%에 달했다. ‘있다’고 답한 30.8%의 기업들도 ‘해외거래 확대’(58.1%), ‘인력축소, 자산매각’(16.1%), ‘타 사업으로 전환’(12.9%), ‘생산성 제고’(9.7%), ‘납품가격 인하’(3.2%) 등의 생존형 자구책 모색에 그치고 있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남북경협은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고 남북간의 경제적 격차를 줄여 통일을 앞당기는 실질적 방안”이라면서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는 원칙에 따른 일관성을 견지하되 경협사업 활성화를 위한 유연성은 강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