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은행이 스마트근무제 도입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은행권에 근무유연제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신한은행이 최초로 도입한 이래 다른 시중은행들도 속속 채택하고 있는 모양새다. 다만 정착을 위해서는 극복 과제가 적지 않다. 부서와 지점별로 근무환경 차이가 있어 이용에 한계가 있는데다 조직 인식 개선에도 상당한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근무유연제 확산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어온 신한은행도 아직은 과도기를 겪는 단계다.

◇ 자율출퇴근제 확대 추진했다가 축소

신한은행은 지난해 7월 은행권 최초로 스마트근무제(재택근무·스마트워킹센터 근무·자율출퇴근제)를 도입했다. 경영진의 확산 의지에 힘입어 지난 2월에는 이를 확대 개편한 ‘스마트근무제 2.0’가 도입되기도 했다. 스마트워킹센터를 신설하고 자율출퇴근 횟수를 확대하는 것이 골자였다. 또 직원들의 활용 여부를 핵심성과지표(KPI)에 반영키로 해 제도 안착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다.

하지만 이를 두고 내부 구성원들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특히 ‘자율출퇴근제’ 횟수 확대 정책은 내부 구성원들의 지적에 최근 축소 조정되기도 했다. 신한은행은 자율출퇴근제의 의무 활용일수를 월 2일에서 주3일로 확대했다가 이달 초 노조의 요청에 따라 주 2회로 줄였다.

자율 출퇴근제는 직원의 생활패턴이나 업무 형태에 맞춰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는 제도다. 영업점 직원은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30분 단위로 출근 시간을 각자 조정할 수 있고 본부 직원은 휴식시간 1시간을 포함해 하루 9시간만 근무하면 된다. 신한은행은 이 같은 제도의 확산을 위해 의무 활용 횟수를 늘렸지만 많은 직원들이 부담을 표했다고 알려졌다.

◇ 부서ㆍ지점별로 근무 환경 달라… 제도 안착  '숙제'

신한은행 노조 관계자는 “직원수가 많은 큰 지점에 비해 작은 지점들은 현실적으로 이를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게다가 주 3회 자율 출퇴근제가 도입된 후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에 시행된 정시 퇴근 문화마저 사라져 부담을 표하는 직원들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에 이 제도가 유명무실하게 운용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고 전했다. 노조 관계자는 “등록만 하고, 실제로는 일찍 근무하거나 늦게 퇴근해 회의나 서류 작업 업무를 보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이에 노조는 규모가 작은 지점에 대해서는 자율출퇴근제도의 활용 성과를 평가하는 시스템을 달리 해야 지적도 내왔다.

조직 인식 개선 역시 아직은 갈 갈이 멀다는 지적도 나왔다. 노조 관계자는 “제도가 안착되기 위해서는 각 지점의 지점장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며 “조금씩 달라지고 있으나 여전히 과거의 근무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곳도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아직은 제도가 정착하는 과도기라는 점에서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신한은행 노조 관계자는 “아직은 과도기 단계”라며 “스마트 근무제의 도입 취지에서 대해서는 공감을 하고 있다. 제도가 개선되고 인식이 바뀌면 근무 환경 개선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