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용평가기관 S&P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했다. <뉴시스/AP>

[시사위크=현우진 기자] 무디스에 이어 S&P도 한국의 신용등급을 ‘안정적’으로 평가했다.

기획재정부는 18일 한국의 신용등급을 기존 AA로 유지하겠다는 국제 신용평가기관 S&P의 발표를 보도했다.

S&P는 신용평가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경제지표는 다른 고소득국가 대부분보다 견고하다”고 밝혔다. 현재 2만9,000달러로 추정되는 한국의 1인당 GDP가 2020년에 3만3,000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됐다. 1인당 실질경제성장률 또한 2.3%로 주요국에 비해 0.3~1.5% 가량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기획재정부는 이에 대해 “최근 북한 관련 지정학적 긴장감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경제 전반이 여전히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자평했다.

정책 환경의 친화성과 건강한 재정위상이 근거로 제시됐다. 한국은행을 비롯한 통화정책 담당자들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S&P는 “한국 중앙은행이 물가안정정책을 통해 꾸준한 경제성장을 유지했다”고 언급했다. 안정적인 정부부채수준 등 국가의 건전한 재정정책도 투자신용을 뒷받침했다.

다만 높은 가계부채는 통화유동성을 제약할 수 있는 요인으로 뽑혀 대책 마련이 촉구됐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신흥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일각에서는 이미 임계치를 넘었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S&P는 2019년부터 본격 시행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가 가계부채 증가세를 둔화시킬 것이라고 기대했다. 2016년 GDP의 30%에 달한 비금융공기업의 부채수준도 위험요인으로 지목됐다.

한편 최근 고조된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는 한국 신용기반의 가장 큰 취약점으로 선정됐다. 다만 그 방향은 다소 색달랐다. S&P는 최근 고조된 대북 긴장감에 대해선 “직접적인 군사적 충돌의 가능성은 낮다”며 선을 그었다. 북한이 유발한 군사적 긴장감이 북한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S&P는 오히려 북한 정권이 갑작스레 붕괴할 경우 통일비용 조달을 위해 높아질 한국의 우발채무 부담을 우려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