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채인식 등 새로운 인증방식들은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단으로 뽑힌다. <뉴시스>

[시사위크=현우진 기자] 공인인증서·액티브X 없는 금융결제시대가 오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4일 ‘전자금융거래 시 금융소비자 편의성 제고 추진성과’를 발표해 금융 사이트 이용을 어렵게 했던 시스템들을 소비자 친화적으로 개편했다고 밝혔다.

전자상거래의 신분증명서 역할을 해왔던 공인인증서는 그동안 이용 및 갱신상의 어려움으로 금융소비자들의 지탄을 받아왔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외의 웹 브라우저에서 활용하기 불편하다는 것 또한 문제점이었다. 웹상에서 많은 공감대를 모았던 ‘공인인증서 없는 한국인처럼 울었다’는 표현은 현 금융거래시스템의 불편함을 잘 나타낸다.

공인인증서에 대한 의존성은 간편송금서비스가 확대되면서 다소 해소된 모습이다. 지난 7월 말 출범한 카카오뱅크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편의성을 앞세워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문자메시지나 QR코드 등을 이용한 서비스도 늘어나 ‘편리한 금융거래’를 찾는 소비자를 만족시키고 있다.

공인인증서 자체를 대체하려는 시도도 늘어나고 있다. 생체인증을 도입한 금융회사는 작년 10월까진 6곳에 불과했지만 올해 8월에는 52곳으로 크게 늘었다. 지문인증이 34건이었으며 홍채인증도 18건에 달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안에 은행·보험·증권사 13곳이 추가로 생체인증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거래내역이 저장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사설인증 서비스도 올해 하반기부터 시범서비스가 개시될 전망이다.

한편 공인인증서 못지않은 ‘짜증유발자’로 뽑히는 보안프로그램 설치의무도 개선대상에 포함됐다. 금융감독원은 “보안프로그램을 필요한 최소범위 내에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금융회사 웹페이지의 전체 메뉴 중 보안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한 메뉴의 비율은 16년 10월 55.6%에서 17년 8월 47.3%로 낮아졌다. 은행권의 경우 개선비율은 가장 컸지만 목표치였던 50%에는 미치지 못해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됐다.

금융감독원은 간편송금서비스의 확대와 선택적 보안프로그램 설치를 근거로 들며 최근 수 개월간 이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향후 계획에 대해선 “금융권 공동 블록체인 기반 사설인증 서비스 등 다양한 보안기술의 도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호환성이 낮은 액티브X의 설치를 없애나가겠다는 계획도 언급됐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