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경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뉴시스/신화>

[시사위크=현우진 기자]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아세안)과 인도는 새로운 세계시장으로 떠오르는 중이다. 모두 합해 19억명이 넘는 인구가 가장 큰 무기다. 한국 또한 무역여건이 악화된 중국과 미국 대신 동남아시아로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 8월 한국의 아세안·인도 수출액은 95억6,500만달러로 총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넘어섰다.

◇ 상승궤도 탄 무역·금융교류

아세안 10개국은 이미 한국의 돈독한 무역 파트너로 자리 잡았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아세안 지역에 대한 수출은 10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와 기계류가 주력수출품이다. 베트남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현지진출도 활발하다.

인도는 아세안에 비하면 비교적 무역규모가 작지만 7%대의 빠른 경제성장을 거듭하며 그 중요성을 나날이 키우고 있다. 인도 정부가 추진하는 시장 친화적 경제정책 또한 인도의 매력 중 하나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조충제·신세린 연구원은 지난 3월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신보호주의의 물결이 강해지는 상황에서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고, 고성장이 가능하다”며 대 인도 경제협력 강화를 주장하기도 했다.

산업교류가 활발해지자 금융진출도 덩달아 활기를 띄었다. 국내은행은 17년 6월 기준 베트남에 19곳, 인도에 14곳의 해외점포를 내고 있다. 특히 지난 상반기 중 신설된 해외점포 6곳 중 4곳이 인도·아세안 지역에 집중됐다. 인도의 경우 신한은행이 국내 최다인 6개의 지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우리은행은 지난 8월 뭄바이에 지점과 인도지역본부를 동시 개설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인도시장 진출을 “글로벌 시장에 대한 ‘금융영토의 확장’”이라고 설명했다.

◇ 인도·인도네시아 등 개도국 “인프라 수요 높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의 2017년 자료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의 인프라 투자수요는 2030년까지 총 3조1,47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대외협력기금(EDCF)을 통한 한국의 해외지원실적 또한 상위 7개국이 모두 동남아시아 국가다(승인액수 기준). 총액의 20% 가량을 차지한 베트남을 필두로 방글라데시·캄보디아 등의 나라들이 뒤를 잇고 있다.

특히 인프라 구축이 미진한 나라일수록 교통·에너지 및 수자원 등 한국이 강점을 가지는 분야의 수요가 높다. 현재 한국의 국가별 유상원조 지원순위 6위에 올라있는 인도네시아가 대표적이다. 사업가 출신인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지난 2014년 대선공약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열악한 인프라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육·해·공 통합 교통시스템 개발과 도로·항만·공항 및 서민층을 위한 주택건설이 그의 약속이었다.

해외투자는 인도네시아의 팍팍한 주머니사정이라는 위도도 대통령의 고민거리를 덜어줄 수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지난 2014년 발간한 ‘2015 세계경제전망’에서 2019년까지 인도네시아 인프라 개선에 필요한 자금을 약 500조 달러로 추정했다. 이 중 국가 예산으로 조달이 가능한 액수는 25% 뿐이다.

한편 또 다른 주요 경제협력대상인 인도의 이름은 유상원조 목록에서 찾아볼 수 없다. 인도가 그간 공적개발원조(ODA) 협력국가로 G8과 유럽연합만을 허용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6월 양측 재무장관이 유상원조에 관한 기본협정을 체결하면서 100억달러 규모의 금융패키지 지원이 가시화됐다. 당시 기획재정부는 “한국 측이 제안한 사업이 지원대상으로 선정될 경우 한국 기업들의 수주·사업수행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적극적인 외국인투자 유치정책을 펴고 있다. 그의 이름을 딴 ‘모디노믹스’는 인도에겐 인프라 확충과 제조업 육성의 발판을, 해외 투자국에겐 새 시장에 진출할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최근 일본이 ‘아시아·아프리카 성장회랑(AAGC)’을 중심으로 인도와 친밀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는 만큼 한국 또한 EDCF와 개발은행을 통한 투자확대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