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기업들, 시중은행 대비 보안투자 8배… “과도한 규제 완화해야”

2021-10-07     송가영 기자
국내 빅테크 기업들이 기존 금융권보다 보안에 높은 비중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시사위크=송가영 기자  국내 빅테크 기업들사들이 매출 대비 보안 투자 비율이 은행 대비 8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업권별 매출액 대비 보안투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NHN 페이코 등 빅테크 4사의 매출액 대비 보안투자 비율은 2.41%로 집계됐다. 이들의 전체 매출은 1조1,542억원이다. 

업권별로 비교할 때 은행은 평균 0.84%였고 증권사 20개의 보안투자 비율은 0.27%, 카드사 8개의 보안투자 비율은 0.41%였다. 은행, 증권사, 카드사의 전체 매출 292조5,268억원 중 보안투자 비율은 0.32%였다. 빅테크 기업들이 기존 금융권보다 보안에 높은 비율로 투자해온 것이다.

빅테크 4사 중 가장 많은 투자를 해온 곳은 NHN 페이코다. NHN 페이코는 매출액 276억원 가운데 9억8,000만원에 해당하는 3.54%를 보안에 투자했다. 토스는 1,766억원 중 60억원, 카카오페이는 2,455억원 중 54억원, 네이버파이낸셜은 7,043억원 중 30억원을 투자했다.

보안인력 비율도 빅테크 기업들이 은행보다 높았다. 빅테크 4사 중 전체 임직원수 대비 보안인력 비율은 3.53%로 은행의 0.68%보다 5.1배 높았다. 카드사의 보안인력비율은 1.25%, 증권사의 보안인력 비율은 0.69%로 집계됐다.

빅테크 기업들은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에 따른 망분리로 적잖은 인력, 비용 등을 투자해왔다. 그러나 최근 업계에선 금융당국의 망분리 정책이 국내 개발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이와 관련한 논의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민 의원은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과도한 사전규제는 다소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왔다. 그는 “과도하고 시대착오적 사전규제보다 보안정책을 회사 자율에 맡겨야 할 것”이라며 “다만 사후처벌과 고객배상액을 높이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