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대국민 담화’에 기류 달라진 국민의힘?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이후 국민의힘 내부의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이 사실상 ‘2선 후퇴’를 시사한 입장표명이 진솔하다고 평가하며 탄핵 부결에 힘을 싣는 듯한 분위기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7일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회동과 관련해 “민생경제와 국정 상황에 대해 총리께서 더 세심하고 안정되게 챙겨 국민들이 불안하지 않게 해주십사 하는 말씀을 서로 나눴다”며 “앞으로 당과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민생경제를 잘 챙기겠다는 말씀을 서로 나눴다”고 전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해제 이후 첫 대국민 담화를 통해 “임기를 포함하여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해당 발언에 대해 윤 대통령이 사실상 ‘2선 후퇴’를 시사한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이를 고리로 이날 탄핵안 표결에서 자신의 ‘부결’을 당부한 것이란 관측이다.
결과적으로 윤 대통령의 담화는 여당 내 기류 변화에 영향을 미친 모습이다. 신동욱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다행스럽게도 대통령 담화에 비교적 진솔한 사과 내용이 담겼다”고 평가했다. 당내에서 공식적으로 ‘탄핵 찬성’ 의사를 밝혔던 조경태 의원도 “일단 한 대표의 뜻에 따르기로 결정했다”고 입장을 바꿨다.
여당은 일단 ‘탄핵’보다는 책임 총리제, 임기 단축 개헌 등의 ‘우회적 방법’을 택할 가능성이 높은 분위기다. 앞서 한 대표는 이날 윤 대통령의 담화 후 기자들을 만나 “대통령의 정상적인 직무 수행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앞으로 대한민국과 국민에게 최선인 방식을 논의하고 고민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명시적으로 탄핵에 대한 입장을 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탄핵 외의 방법을 염두에 둔 것이란 평가가 나왔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정치적 책임을 지는 방법에 탄핵, 하야, 임기 단축 개헌, 거국 내각 등 여러 가지가 있다”며 “탄핵이 유일한 정치적 책임을 지는 방법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탄핵을 하든 안 하든 동일한 대오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당내 일각에선 이와 관련해 구체적 계획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당은 표결 전까지 대통령의 퇴진 일정과 거국 중립 내각 구성 여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며 “이것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질서 있는 퇴진’의 필수요건이라고 생각한다”며 “표결 전까지 윤 대통령의 퇴진 일정이 수립되지 않는다면 국민의 뜻에 따르겠다는 저의 입장은 변함이 없음을 밝힌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