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강원랜드 ‘사장 알박기’ 없어야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국내 유일의 내국인 출입 카지노 운영 공기업이자 폐광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강원랜드를 둘러싸고 잡음이 일고 있다. 진행 오랜 기간 미뤄왔던 사장 선임 절차를 대통령 탄핵에 따른 조기대선 국면 속에 진행하면서다.
강원랜드는 2023년 12월 이삼걸 전 사장이 임기를 4개월여 남기고 돌연 물러나면서 사장 자리가 공석이 됐다. 사장 공백 상황이 어느덧 1년은 물론 16개월을 훌쩍 넘긴 상태다. 지난해 8월 신임 사장 선임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가 꾸려졌지만, 이후에도 본격적인 절차는 진행되지 않았다. 그 사이 대통령실 출신인 최철규 부사장이 취임과 동시에 직무대행으로 사장 역할을 대신해오고 있다.
그런데 지난달 19일, 강원랜드는 돌연 신임 사장 선임 절차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사장 공모 공고를 내고 후보를 접수한 뒤 1차 서류심사 등을 실시한 것이다. 이를 통해 5명의 후보자를 추린 것으로 알려진다.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한창이던 때, 미루고 미루던 신임 사장 선임 절차를 본격화한 건 ‘알박기 낙하산 인사’에 대한 우려와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충분하다. 어느 누가 사장 자리에 오르든, 탄핵된 정권의 알박기 인사라는 꼬리표를 피할 수 없다. 사장 선임이 강행된 뒤 정권이 교체될 경우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이에 따른 피해는 강원랜드의 수많은 직원들, 그리고 지역사회가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 강원랜드가 추진 중인 글로벌 복합리조트로의 재도약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강원랜드는 그동안 낙하산 잔혹사가 끊이지 않았으며, 알박기 사장 인사로 인한 어려움도 이미 겪어봤다. 정상적으로 임기를 마친 정권이 아닌, 탄핵된 정권의 알박기 인사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일각에선 사장 공백이 장기간 이어진 만큼, 선임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앞뒤가 맞지 않는 주장이다. 강원랜드는 그동안 뚜렷한 이유 없이 신임 사장 선임 절차를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강원랜드가 탄핵된 정권의 알박기 인사로 중요한 시간을 잃어버리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