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세계 정치학자들 앞에서 ‘K-민주주의 저력’ 강조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전 세계 정치학자들 앞에서 “제대로 된 민주주의, 확실한 민주주의의 새로운 전범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전 세계인들에게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를 극복하고 안정화의 길에 접어든 대한민국 민주주의 저력을 강조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전날(13일) 오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세계정치학회 서울총회’ 개막식 연설에서 “저는 우리 대한민국이 전 세계 역사에 남을 위대한 민주주의의 새 길을 열고 있다고 자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12.3 내란의 극복 과정은 민주주의가 가진 진정한 힘과 희망을 확실하게 보여주었다”며 “위대한 대한민국 우리 국민은 내란의 어둠에 맞서 평범한 일상을 회복할 장엄한 ‘빛의 혁명’을 해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대한국민이 보여준 놀라운 회복력과 민주주의의 저력은 대한민국의 것인 동시에 전 세계인들의 것”이라며 “우리 국민들이 직접 보여준 오색 빛 K-민주주의가 길을 찾는 세계의 민주시민들에게 등불이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의 미래를 구할 ‘K-민주주의’의 핵심 정신은 민주주의의 가치인 자유, 평등, 연대를 철저히 복원하는 것”이라며 “불평등과 양극화, 빈곤의 파고가 성장을 가로막는 위기의 시대, 이때의 ‘자유’란 곧 ‘경제’”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우리 옛말에 ‘민주주의가 밥 먹여 주냐’ 이런 얘기가 있다. 그러나 우리는 민주주의가 밥 먹여 준다는 사실을 증명해내야 한다”며 “민주주의야말로 우리 모두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발견하고, 저마다 꿈을 꿀 수 있는 창의와 도전, 희망이 넘칠 나라를 만들 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정치체제임을 끊임없이 입증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이제 우리는 민주주의의 위기를 바로잡은 주권자의 집단지성이 제대로 발현될 수 있는 미래형 민주주의로 나아가야 한다”며 “이미 도래한 AI 혁명이 디지털 민주주의를 더욱 발전시킴으로써 합리적 토론과 민주적 의사결정을 돕고, 직접민주주의를 강화하는 유용한 기반이 되어줄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이 위기를 기회로 삼는다면 인공지능 혁명이야말로 K-민주주의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젖힐 ‘특이점’으로 작동할 것”이라며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직접민주주의의 비효율성을 보완하며 시대가 요구하는 혁신적 민주주의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민주주의의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는 길에, 우리 대한민국이 맨 앞에서 담대하게 나아갈 것”이라며 “그렇게 대한국민의 DNA에 오롯이 새겨진 자유와 평등, 연대의 민주주의를 후대에 더 빛나게 물려줄 수 있도록, 성큼성큼 전진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