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진우, 국회의원 다면평가제 도입 주장한 이유
시사위크=손지연 기자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29일 ‘국회의원 다면평가제’를 도입해 제대로 일하지 않는 이른바 ‘웰빙’ 국회의원에 대해 공천 불이익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의 대선 패배 이후 당 혁신위원회 등에서 ‘인적 쇄신’을 주장하며 내홍이 계속되자 대안으로 이같은 평가 제도를 도입하자는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당권주자로 나선 주 의원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웰빙 국회의원은 확실한 공천 불이익을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며 “연간 두 차례 평가하는 ‘국회의원 다면평가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총선 공천심사에 임박하여 국회의원을 평가함으로써 객관성 담보가 어렵고, 총선이 있는 해 의정 활동에 더 집중하는 부작용이 있었다”며 “현재 대한민국에서 이렇게 장기간 평가받지 않는 기업 임원이나 직원, 공무원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객관적 평가가 쌓여나가도록 당원들(해당 지역구), 동료 의원들(해당 상임위), 전·현직 보좌진들(해당 의원실), 당직자들에게 평가권을 주겠다”며 “갑질 사례나 부당 지시도 기재하도록 하여 우리 당에서 ‘국회의원 갑질’은 영원히 사라지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을 당시 ‘보좌진 갑질 의혹’으로 물의를 빚은 것을 직격한 것으로 보인다. 주 의원은 “공무원 다면평가가 실시된 후, 부하 직원에 대한 갑질과 부당 지시가 확 줄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당 대표는 2년마다 바뀌지만, 국회의원 평가 시스템은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당원 동지들의 동의를 받아 당헌, 당규에 국회의원 다면평가를 명시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선 패배 이후 당 혁신의 일환으로 친윤계를 정조준한 ‘인적쇄신’보다 자신이 내놓은 ‘다면평가제’가 더 나은 인적 쇄신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일하지 않는 국회의원은 도태될 수밖에 없도록 시스템을 바꾸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인적 쇄신”이라고 일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