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2명 중 1명 폭언‧괴롭힘 경험… “신고해도 달라지지 않아”
시사위크=이민지 기자 의료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절반 이상이 폭언과 괴롭힘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대한간호협회는 ‘간호사 인권침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의료기관 간호사 788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0.8%는 최근 1년 이내에 인권침해를 경험했다.
가장 흔한 피해 유형은 폭언(81%)과 직장 내 괴롭힘‧갑질(69.3%)로, 가해자는 △선임 간호사(53.3%) △의사(52.8%0 △환자 및 보호자(4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권침해의 79%는 환자나 보호자가 있는 공개된 공간에서 발생했다. 이는 간호사들이 업무 중에도 직업적 존중을 받지 못한 채, 공개적인 모욕에 노출돼 있음을 보여준다.
대한간호협회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인권침해의 근본 원인으로 만성적인 인력 부족을 꼽았다. 과도한 업무 부담과 교대 근무 속에 간호사 간 위계와 갈등이 심화되고, 피로 누적이 폭언‧괴롭힘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숙련된 간호사의 이탈로 이어지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65.3%는 휴직이나 사직을 고려한 적이 있으며, 43.5%는 직종 변경을 고민한 것으로 나타나 인권침해가 결국 숙련 인력 이탈로 직결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피해 후 대응도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파악됐다. 인권침해를 경험한 간호사 중 71.8%가 ‘무대응’을 선택했으며, 그 이유로 ‘신고해도 변화가 없을 것 같아서’가 67.2%로 가장 많았다. 뿐만 아니라 공식 절차를 통한 신고는 15%에 불과했으며, 이 가운데 ‘기관 내 변화가 없었다’는 응답은 69%에 달했다. 이는 현행 제도가 실질적 보호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이에 최우선 과제로 응답자들은 △인력 충원 등 근무환경 개선(69.3%) △법‧제도 정비 및 처벌 강화(57.5%) 순으로 빠른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답했다.
간호협회는 “인력 확충 없이는 인권침해 문제의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며 “△인력충원 △처벌 기준 강화 △조직문화 개선을 포함한 종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