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감사원·권익위 ‘환골탈태’ 강조… “출발점은 윤석열 호위무사 단죄”

2025-10-17     전두성 기자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전두성 기자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7일 감사원과 국민권익위원회의 ‘환골탈태’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 출발점은 검찰·감사원·권익위 등에서 윤석열 호위 무사들의 죄상을 낱낱이 밝히고 단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감사원은 ‘정치보복원’으로, 국민권익위원회는 ‘윤석열 권익위원회’로 이름을 바꿔야 할 지경”이라며 “국민의 기관이 아닌 ‘윤석열의 심부름센터’처럼 움직였음이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감사원에 대해 “윤석열·김건희의 이름이 들어간 감사청구는 모두 묵살됐다”며 “국회의 의결과 국민의 공익 청구도 소용이 없었다. 법과 절차는 철저히 무시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반면에 민주당과 관련된 사안은 신속하게 처리됐다”며 “2022년엔 584건, 2023년엔 551건의 디지털 포렌식이 진행되었는데, 예상했던 것처럼 대부분이 민주당과 관련된 의혹이었다. 그럼 정치 검찰은 이것을 받아서 신속하게 기소했다”고 설명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를 주도한 감사원 사무총장의 권세는 상상을 초월했다. 감사원장보다 두 배 가까운 특수활동비를 사용했다”며 “정치 검찰에서 배운 대로 단 한 건의 증빙도 제출하지 않았다. 못된 것은 참 빨리 배우는 모양”이라고 직격했다.

국민권익위를 향한 비판 목소리도 높였다. 그는 “김건희의 ‘명품백 수수 의혹’은 짜고 치는 고스톱처럼 처리하며 무혐의로 종결됐다. 윤석열에게 순응하는 위원들만 모여서 속전속결로 의결됐다”며 “담당 국장급 간부는 견디다 못해 개탄의 유서를 남기고 세상을 등졌다”고 언급했다.

또 “윤석열 파면을 요구한 상임위원은 중징계로 겁박당했다”며 “계엄 해제 직후에 국정을 공동 운영하겠다며 선언한 한동훈과 한덕수의 담화를 비판했다는 이유로 사무관은 좌천당했다. 공익 제보자 보호는 사실상 중단됐다”고 꼬집었다.

이에 김 원내대표는 “이대로 둘 수 없다.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감사원, 권력으로부터 독립된 국민권익위원회로 철저하게 환골탈태시켜야 한다”며 “그 출발점은 검찰·감사원·권익위 등에서 기관 전체의 명예를 더럽힌 윤석열 호위 무사들의 죄상을 낱낱이 밝히고 단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원내대표는 전날(16일) 감사원의 회계감사권을 국회로 이관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감사원 회계감사권의 국회 이관도 검토하겠다”며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정치 감사와 권력 남용을 더는 용납하지 않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