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전기차 시대가 열리고 있다. 오랜 세월 내연기관 자동차를 만들어온 기업들이 앞 다퉈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고, 전기차 전문기업 테슬라가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기차만 생산되고, 주유소보다 충전소가 더 익숙해질 시대가 이제 멀지 않았다. 

이 같은 변화의 시대에 화려한 주연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주목 받진 못해도, 중요한 제 역할을 묵묵히 해내고 있는 조연도 있다. 미래지향적인 디자인과 막강한 성능, 놀라운 최신기술을 뽐내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일상과 더욱 가까운 곳에서 전기차 시대를 앞당기고 있는 숨은 영웅들을 <시사위크>가 조명한다. [편집자주]

캠시스 초소형 전기차 쎄보C는 롯데마트 6개 지점과 개별 전시장 4개 지점 등 총 10개 지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 / 그래픽=이현주 기자

시사위크=제갈민 기자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물건을 구매할 때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따지기 마련이다. 자동차를 구매할 때도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초소형 전기차 시장에서는 가성비가 더욱 강조된다.

국내 초소형 전기차 시장은 르노 트위지가 처음 문을 열었고, 이에 따라 트위지를 기준으로 많은 법과 규제가 마련됐다. 다만, 트위지는 짐이 있는 성인 2명이 타기 쉽지 않고, 공조장치 등 편의사양도 부족하다. 

그런데 국내 중소기업이 선보이고 있는 초소형 전기차는 이 같은 빈틈을 보란 듯이 꽉 채우고 있다. 

쎄보C 미드나이트 블루. LED 타입의 헤드램프와 차폭등, 방향지시등을 창착했다. 범퍼에는 주간주행등이 설치했다. / 제갈민 기자

◇ 쎄보C, 갖출 것 다 갖추고 공간도 넉넉하다

주인공은 캠시스의 초소형 전기차 쎄보C. 가장 먼저 가성비가 좋다고 말하고 싶다. 기자는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쎄보 서울·경기 대리점을 방문해 차량을 직접 살펴보고 시승도 했다. 

쎄보C는 크기가 생각보다 아주 작지는 않다는 첫 느낌을 준다. 귀여운 디자인으로 도로에서 눈길 꽤나 받을 것 같다. 색상은 4가지. 쎄보 서울·경기지점 관계자에 따르면 가장 많은 선택을 받는 색상은 미드나이트블루라고 한다. 이어 레드·아쿠아블루·라임그린 순이다. 대리점 내에는 미드나이트블루 및 레드 색상의 쎄보C가 한 대씩 전시돼 있었다.

운전석에 탑승하면 실내공간이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여유롭다. 조금 과장을 보태면 모닝이나 스파크와 같은 경차보다 헤드룸과 레그룸이 여유가 있다고 느껴질 정도다. 특히 운전석과 동승석의 공간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점이 레그룸을 더욱 넓게 느껴지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헤드룸은 180cm의 성인 남성이 탑승해도 머리 위로 주먹 하나 이상의 공간이 남는다. 시트 높낮이 조절을 못하는 대신 헤드룸을 여유 있게 설계해 누구나 편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한 것 같다.

일반 차량과 달리 초소형 전기차는 공차중량 600kg 미만을 충족해야 한다. 이 때문에 쎄보C 역시 불필요한 부분을 최대한 걷어내면서도 성인 2명이 탑승해도 불편한 점이 없도록 노력한 모습이 엿보인다.

쎄보C 실내 사진. 왼쪽 위 사진을 보면 차량 천장에 선바이저와 룸미러, 실내조명등 등이 설치돼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에는 디지털 계기판과 다이얼식 변속기, 비상등, 창문 조작 및 공조기 작동버튼 등이 설치돼 있다. 차 키는 아날로그 형태지만 리모컨으로 차량 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해 편의성을 더했다. / 제갈민 기자

그럼에도 편의장비를 최대한 많이 설치했다. 먼저 자동변속기가 장착됐는데, 이를 다이얼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했다. 기어 다이얼은 센터페시아 정중앙에 위치해 있다. 이 다이얼식 기어 덕분에 운전석과 동승석의 레그룸이 하나로 이어질 수 있기도 하다. 

여기에 USB포트가 설치된 오디오장치가 탑재돼 있으며, SD카드 삽입까지 가능하다. 라디오 청취를 넘어 휴대폰이나 메모리카드를 활용해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좌우 사이드미러도 운전석에서 일반 자동차처럼 전동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운전자들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하는 것 중 하나가 공조장치다. 쎄보C는 에어컨과 히터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송풍구는 운전석과 동승석에 하나씩 동그랗게 설치됐다. 차키는 스마트키는 아니지만 리모컨으로 문을 잠그고 열 수 있도록 했다.

운전 중 햇빛으로 인해 눈이 부시는 때를 대비해 선바이저도 설치했으며, 운전석과 동승석 문에 설치된 수납함과 스피커는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을 쓴 모습이다.

쎄보 서울경기 전시장에는 쎄보C 미드나잇 블루와 레드가 1대씩 전시돼 있으며, 시승 차량은 오른쪽 아래 사진의 라임그린 색상이다. 왼쪽 아래 사진은 후면 유리창을 개방한 모습이다. 쎄보C는 프레임바디로 트렁크 도어가 존재하지 않아 창문이 열리는 형태로 대체했다. / 제갈민 기자

◇ 쎄보C, 800만원이면… 출퇴근에 제격

쎄보 대리점에서는 방문 고객들을 대상으로 시승도 진행하고 있어 쎄보C를 직접 타볼 수 있는 기회도 얻을 수 있었다. 시승한 쎄보C 차량은 라임그린 색상이었다. 장난감 같은 느낌을 주는 톡톡 튀는 색상이긴 하지만 부담되는 정도는 아니다. 매장에 전시돼 있는 미드나이트블루 및 레드 색상보다 오히려 더 끌렸다.

시승은 성남시청 정문부터 야탑역 인근을 주행했다. 시승 전 쎄보 대리점 측 관계자는 스티어링 휠이 파워가 아니라 조금 무거울 수 있다고 주의를 줬으나, 실제 주행에서는 크게 불편함이 없었다.

주행 중 소음은 노면소음과 풍절음이 들려오지만 동승자와 대화는 편안하게 할 수 있는 정도다. 일상적인 도심지 주행 속도인 50~60km/h로 주행할 때 느껴지는 진동은 크지 않았다. 차량의 특성상 고속주행보단 정체가 많은 도심주행이 많은 것을 감안하면 ‘차 잘 만들었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가속력은 기대 이상이다. 제원 상 최고속도는 80km/h로, 조금 빠르게 달리고 싶어 가속페달을 깊게 밟으면 순간적으로 치고 나간다. 도심에서 다른 차량들을 추월하기에도 전혀 문제가 없다. 

다만, 초소형 전기차로 분류되기 때문에 서울 내 서부간선도로나 동부간선도로 등 자동차전용도로 진입엔 제약이 있다. 쎄보C는 초소형 전기차라고 해도 국내에 처음 도입된 트위지와는 성격이 다르다. 트위지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관련 법안의 개정이 필요해 보이는 부분이다.

쎄보C에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장착돼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제동 반응도 즉각적이다. 여기에 경사로 밀림방지도 적용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했다.

1회 완충 시 최대 주행거리는 환경부 시험 결과(보정계수 적용) 도심 주행 기준 △상온 66.7km △저온 70.4km다. 회생제동 시스템도 적용했다. 일반적으로 출퇴근 거리 편도가 10km라고 가정하면 1회 완충으로 3일은 무난하게 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 차량의 유지비는 물론, 대중교통비와 비교해도 훨씬 절약이 가능하다. 

쎄보C는 탑승석 뒷편에 적재공간을 마련했다. 의자는 일반 자동차들과 동일하게 측면 레버를 위로 당기면 등받이가 앞쪽으로 젖혀진다. 좌측 뒷편에 설치된 충전 소켓은 손으로 여닫을 수 있으며 완속 충전을 지원한다. 운전석 시트 측면에는 동그란 레버가 설치돼 있는데, 이는 후면 트렁크 창문을 여는 용도로 쓰인다. / 제갈민 기자

배터리 충전 소켓은 AC단상 5핀(완속)이며, 방전 기준 완충까지 약 3시간이 소요된다. 충전 비용은 100km당 1,100원 정도로 알려진다. 충전은 가정용 전기 220V 콘센트로도 할 수 있다. 

차량의 출고가는 1,450만원이다. 여기에 국고보조금과 각 지자체 보조금 지원을 받으면 서울시 기준 약 770만원 정도에 구입할 수 있다. 

차량은 일반 쎄보 대리점뿐 아니라 롯데마트에서도 구경이 가능하다. 대리점은 △서울·경기(경기도 성남) △전남·영광(영광군 대마면) △대구·경북(대구 달서구) △제주지점(제주 노형동) 등 4곳에 자리잡고 있다. 쎄보 라운지가 운영되는 롯데마트는 △서울 중계점 △대전 대덕점 △광주 월드컵점 △부산 부산점 △울산 진장점 △창원 양덕점 등 6곳이다.

쎄보C 정비는 찾아가는 서비스와 입고정비 서비스 두 가지로 운영된다. 찾아가는 서비스는 ‘카랑(CARANG)’ 자동차 출장정비 서비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무상점검 서비스와 정기방문 순화정비(고객비용부담), 차량이상 등 점검을 받을 수 있다.

입고정비는 AJ카리안서비스를 통해 운영된다. 카랑과 AJ카리안서비스 네트워크는 전국에 총 43개점이 위치해 있어 정비 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어 보인다. 보증서비스는 전기차 전용부품인 주전원 배터리와 동력 전달부품에 대해 3년·6만km를, 소모품을 제외한 차체 및 일반부품에 대해서는 2년·4만km를 보증한다.

캠시스는 1993년 반도체장비사업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2003년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사업에 진출했으며, 2015년 전기자동차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해 쎄보C를 개발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