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조인성이 영화 ‘밀수’(감독 류승완)로 돌아왔다. / 아이오케이컴퍼니
배우 조인성이 영화 ‘밀수’(감독 류승완)로 돌아왔다. / 아이오케이컴퍼니

시사위크=이영실 기자  배우 조인성이 영화 ‘밀수’(감독 류승완)로 돌아왔다. 여성 투톱 주연작, 크지 않은 비중에도 제 몫을 다하며 ‘밀수’에 큰 힘을 보탰다. 류승완 감독 역시 “배우가 가진 특유의 고전적인 풍미가 ‘밀수’와 완벽하게 맞아떨어졌다”고 조인성의 활약에 만족감을 표했다. 

‘밀수’는 바다에 던져진 생필품을 건지며 생계를 이어가던 사람들 앞에 일생일대의 큰 판이 벌어지면서 휘말리는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류승완 감독이 영화 ‘모가디슈’(2021) 이후 2년 만에 선보이는 신작으로, 지난 26일 개봉한 뒤 뜨거운 반응을 얻으며 단숨에 극장가를 접수했다. 

‘모가디슈’에 이어 다시 한 번 류승완 감독의 선택을 받은 조인성은 ‘밀수’에서 사업가적인 면모와 악독한 기질로 밀수판을 접수한 권 상사를 연기했다. 조인성은 단순한 ‘빌런’인 줄 알았던 권 상사를 알면 알수록 다채롭고, 들여다보면 들여다볼수록 입체적이고 매력적인 인물로 생생하게 완성해 호평을 얻고 있다. 유려한 액션, 깊은 눈빛 연기도 빼놓을 수 없다.  

최근 <시사위크>와 만난 조인성은 권 상사를 향해 쏟아지는 호평에 “이번만큼은 부모님의 덕을 본 것 같다”고 재치 있는 농담을 건네더니, “캐릭터가 빛났다면 그것은 두 주인공 김혜수‧염정아가 잘 이끌어준 덕”이라고 겸손하게 말했다. 

조인성이 ‘밀수’를 택한 이유를 전했다. / 아이오케이컴퍼니
조인성이 ‘밀수’를 택한 이유를 전했다. / 아이오케이컴퍼니

-여성 투톱 주연 영화에 비중도 크지 않았다. 그럼에도 ‘밀수’를 택한 이유가 있다면. 

“다 사람 이야기니까. 남자 여자는 별로 중요한 게 아니다. 춘자와 진숙의 이야기인데 거기에 강력한 브리지(가교)가 필요했던 것 같다. 나와 류승완 감독 사이 정도가 되면 역할 크기는 문제가 아니고 이 영화를 어떻게 만들어나갈 것인가 대화를 하게 된다. 내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했던 거다. 그렇다고 써먹기만 하고 버리는 감독도 아니잖나. 나오면 나온 것에 대한 분명한 이유를 주기 때문에 이 역할을 어떻게 하면 잘 해낼 것이냐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리고 분량이 많았다면 출연도 못했다. ‘무빙’을 하기로 한 상태라 스케줄이 안됐었다. 다행히 접점이 잘 맞아서 참여할 수 있었다.”

-권 상사는 악역인 줄 알았는데 굉장히 멋있는 캐릭터였다. 어떻게 접근했나.  

“멋있게 하려고 한 건 아니었다. 매력적으로 보여야겠다는 마음이 들어간 순간 사달이 난다. 배우의 욕심이 들어가니까. 내가 주인공이 아니잖나. 두 선배(김혜수‧염정아)가 주인공이다. 선배들이 나나 박정민, 고민시를 다 키워놓은 거다. 캐릭터가 잘 나왔다면 선배들 덕이다. 주인공은 공기다. 공기가 없으면 죽잖나. ‘밀수’는 공기가 좋았고 강력한 공기였기 때문에 모든 캐릭터들이 살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류승완 감독이 어떤 요구를 했나.

“권 상사는 장도리와 비교하면 전국구잖나. 동네 수준이 아니라는 거다. 전국에서 제일 잘하는 사람인데 그 품위를 놓지 않았으면 하는 게 류승완 감독님의 명확한 주문이었다. 품위 있고 매너 있게 하다가 가끔씩 허술한 모습이 보이기도 하고 그런 면들이 합쳐져 권 상사가 완성됐다. 입체적으로 그려졌다고 생각한다.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역할인데 배우들과의 ‘케미스트리’를 통해 입체적으로 잘 표현된 것 같다.” 

-권 상사와 춘자(김혜수 분)의 묘한 관계도 재미 포인트였는데.  

“춘자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화학적 작용이었던 것 같다. 보는 사람의 마음이고 시선이잖나. 그것에 대해 어떤 것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상상력을 막는 거다. 선배(김혜수)도 나도 멜로가 가능하고, 그런 남녀가 만나서 연기를 하니 보는 분들에 눈에는 그렇게 보일 수 있고 그렇게 보였다면 그런 거다. 아니라고 이야기할 순 없고 무엇이 정답이라고 알려줄 수도 없다. 그게 ‘케미스트리’라고 생각한다.”

강렬한 존재감을 뽐낸 조인성. / NEW
강렬한 존재감을 뽐낸 조인성. / NEW

-카메라 앵글에서 류승완 감독의 사랑이 느껴지더라. 그만큼 배우 조인성의 잘생김이 유독 많이 담긴 작품이다.

“(류승완 감독이) 한 번도 고백한 적은 없다. 입 밖으로 하면 류승완이 아니다. 아마도 감독님이 자신의 소싯적 모습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니까 그렇게 담지 않았을까 싶다.(웃음) 그날 내 얼굴 상태가 좋았던 것 같기도 하다. ‘밀수’는 인물 위주의 영화다. 인물을 따라가는 영화다 보니 연출법의 차이가 그렇게 느껴지지 않았나 싶다. 감독님과 이런 대화를 하진 않았지만 연출 의도가 있을 것이고 그 의도대로 가지 않았나 싶다. 그 의도가 조인성을 잘생기게 찍어야지 한 것은 아니었을 거다. 그렇게 봐주셨다니 감사할 뿐이다.” 

-김혜수의 말을 빌리자면 ‘잘생긴’ 액션도 인상적이었다. 어떻게 준비했나.  

“‘무빙’도 준비를 해야 해서 액션 스쿨에서 한 방에 끝냈다.(웃음) 안무라고 생각하면 동작을 크게 해줘야 태가 난다. 이번 권 상사 액션은 동작을 크게 하는 게 포인트였다. (잘생긴 액션은) 이번만큼은 부모님의 도움을 좀 받은 것 같다. 그리고 나이가 주는 이점이 있지 않나. 똑같이 연기했더라도 내가 더 젊었을 때 했다면 그 느낌, 질감이 안 나왔을 거다. ‘비열한 거리’ 병두와 ‘밀수’ 권 상사가 같은 지점의 연기라고 생각하면, ‘비열한 거리’ 때는 이렇게 하고 싶어도 안 됐다. 또 그때 병두를 지금 조인성에게 하라고 한다면 또 다른 모습이 나오겠지. 이번 권 상사는 세월이 주는 이점을 잘 받아서 완성된 모습이지 않았나 싶다. 운이 좋았다.”

대중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 싶었다는 조인성. / 아이오케이컴퍼니
대중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 싶었다는 조인성. / 아이오케이컴퍼니

-평소 나이를 먹는 것에 대한 고민을 하나. 

“전혀 안 할 순 없다. 그렇다고 특별히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내가 어떻게 만들 수 없는 것이라면 그 고민이 쓸데없는 짓이다 싶더라.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면 나만 괴로운 것이잖나. 그래서 잘 나이를 먹으려고 하고 있다. 우선 일과 사생활을 잘 구분하려고 한다. 내 시간을 충분히 갖고자 한다. 배우라는 것은 항상 몸을 쓰는 직업이라 균형을 잘 맞추려고 노력하는데, 요즘 지키고 있는 것은 10시 이후에 전화를 잘 받지 않고 12시 전에 자려고 한다. 나만의 루틴들이 생기더라. 예전에는 부르면 나가기도 하고 끌려가기도 하고 그랬는데 그런 것들을 정리할 수 있는 나이가 되니 나 스스로에게 집중하도록 매니지먼트하게 되더라.”

-최근 대중과 더 가까워진 느낌이 든다. 아마도 예능프로그램 ‘어쩌다 사장’이 클 것 같다. 예능프로그램에 도전한 이유가 있을까. 

“코로나19 때문에 세상이 급속도로 변했다. 사람 간의 관계가 깊숙해지지 못하고 단절되는 시기였다. 거리두기 정책도 있었고 관객이 극장에 못 오는 상황이 됐다. 그때 OTT를 통해 개인이 안전하게 콘텐츠를 즐길 수 방법이 나왔다. 그런 상황에서 내가 어떻게 하면 대중을 만날 수 있을까 고민했다. 그렇다고 시리즈는 촬영하는 데 1년이 걸리고 공개되기까지 또 긴 시간이 걸리잖나. 대중과의 만남을 새롭게 세팅해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더라. 가장 빠른 시간에 대중을 만날 수 있는 방법이 예능이었다. 그러면 어떤 예능을 할 것인가, 사람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나의 이야기는 사실 할 게 없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었다. 그 지역에 사는 어르신, 동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내가 더 많이 배웠다. 그게 지혜니까. 시즌1에서 그런 것들을 많이 배워서 이기적으로 시즌2도 했고, 시즌3도 바쁘지만 나를 위해 하는 거다. 힘들지만 힐링을 받고 있다.”

-극장이 힘든 상황이다. 이런 시기 ‘밀수’가 어떻게 관객들에게 다가갔으면 하나. 

“‘모가디슈’ 때도 어려웠고 지금도 어렵다. 왜 그럴까. 모르겠다. ‘모가디슈’ 때가 더 쉬웠을 수도 있고 지금이 더 나을 수도 있다. 그런 식으로 생각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게 부정적인 생각으로 돌아갈 거다. 이 와중에도 해내야 하는 것이고, 그런 영화가 있어야 관객도 극장에 나올 수 있는 거다. 사실 스코어로 결과를 나누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고 그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결과의 순간은 굉장히 짧다. 길어도 한 달이다. 하지만 과정은 6개월 이상이다. 그 시간이 행복했다면 사실상 완성된 거라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밀수’는 과정이 행복했으니, 그것만으로도 완성됐다고 본다. 그래서 더 고마운 작품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