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은행
[시사위크 = 이미정 기자]국민은행이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조성자에서 탈락하면서 배경을 놓고 업계에서 뒷말이 일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이달 초 ‘원·위안화‘ 은행 간 직거래시장 시장조성자로 신한은행 등을 비롯한 국내은행 7개와 외국은행 국내지점(외은지점) 5개 등 총 12개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7개 국내 은행은 신한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 산업은행, SC은행, 씨티은행, 외환은행이다. 외은지점의 경우 교통은행과 도이치은행,  JP모간체이스은행, 중국공상은행, HSB 등 5개사가 선정됐다. 

시장조성자 제도는 오는 12월 개설 예정인 국내 원·위안화 은행 간 직거래 시장의 거래를 활성화하고자 도입하는 제도다.

시장조성자는 매수·매도 가격을 제시해 가격 형성을 주도하고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기재부는 선정된 은행들이 시장조성 의무를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외환건전성부담금 경감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런데 국내 대표 시중은행인 국민은행이 시장조성자에서 제외돼 업계의 관심을 사고 있다. 이번 시장조성자는 재무건전성, 원·달러 거래실적, 위안화 접근성 등 기재부가 협의한 기준에 따라 한은이 선정했다.

국민은행의 경우, 원·달러 거래실적과 위안화 접근성 등에서 수준에 못 미치면서 탈락한 것으로 알려진다. 실적 등 다른 부분에선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이 부분에서 기준에 미달해 선정되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국민은행은 가계금융 위주 금융사라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외환거래 부분이 타 은행에 비해 취약한 편이다. 위안화 거래 역시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이번 결과에 실망감을 표하는 시선도 적지 않다. 한·중 무역 관계 확대로 위안화 결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만큼, 국민은행도 이에 대한 금융상품 마련 등 대비가 필요했음에도 준비가 부족했던 것 아니냐는 시선이다.

한·중 FTA 타결을 계기로 위안화의 국내 거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최근 하나은행과 외한은행 등 국내 시중은행들은 다양한 위안화 금융상품들을 쏟아내고 있다. 국민은행도 올해 안에 위안화 예금상품과 대출상품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선 좀 더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를 놓고 일각에선 상반기 ‘도쿄지점’과 ‘KB사태’ 등 각종 ‘금융스캔들’로 시끄러운 나날을 보내면서 국민은행이 제대로 신경을 못 쓴 것 아니냐는 뒷말도 나왔다.

이런 시선에 대해 국민은행 측은 “국민은행은 ‘기업 금융 위주’가 아니라 ‘가계금융’ 위주”라며 “무역거래를 많이 하는 기업과 거래하는 우리은행이나 외환은행, 신한은행 등과 달리 국민은행은 개인을 상대한 거래가 많기에 당연히 외국환 거래 실적이 적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이번 한·중 FTA로 거래가 확대되면 무역 금융도 지원할 계획이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