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소미연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대선을 코앞에 두고 각각 교육문화체육관광위와 환경노동위 등 상임위 연석회의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상대 후보의 검증을 위해서다. 문재인 후보의 아들 준용 씨의 특혜 취업과 안철수 후보의 부인 김미경 서울대 교수의 특혜 임용에 대한 의혹 조사가 안건이다. 물론 양측은 해당 의혹에 대한 검증에 자신 있는 표정이다. 문재인 후보 측은 이미 2007년 노동부 감사와 2012년 대선 당시 의혹이 해소됐다는 점에서 상대 진영의 네거티브라고 주장했다. 안철수 후보 측은 2012년 국감에서 당시 오연천 서울대 총장의 답변을 인용해 충분히 해명됐음을 강조했다.

◇ 문재인, 아들 특혜 취업 의혹 “이미 검증 끝난 일”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아들 준용 씨의 특혜 취업 의혹에 대해 이미 2007년 노동부 감사와 2012년 대선 당시 검증을 마쳤다는 점에서 상대 진영의 네거티브라고 주장했다. <뉴시스>
하지만 의혹은 19대 대선을 앞두고 눈덩이처럼 커졌다. 새로운 의문점들이 의혹의 꼬리를 물었다. 당장 준용 씨는 2006년 12월 한국고용정보원에 제출했던 응시원서와 자기소개서가 공개되면서 뒷말을 샀다. 귀걸이와 점퍼 차림의 증명사진이 부착된 데다 자기소개는 A4용지 반절 분량에 지나지 않자 취업 준비에 소홀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공교롭게도 준용 씨는 당시 일반직 외부 응시자에 자신을 포함 2명이 지원해 경쟁 없이 채용됐다.

뿐만 아니다. 준용 씨는 졸업예정증명서를 뒤늦게 제출한 사실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응시원서 접수기간은 그해 12월6일까지였으나, 졸업예정증명서는 접수기간을 닷새 넘긴 11일에 발급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근거로 입사지원서에 필적 위조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입사지원서를 졸업예정증명서와 함께 11일에 제출했는데, 누군가 4일로 조작한 것으로 보인다는 얘기다.

이에 대해 문재인 후보 측은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 고용정보원이 채용 공고에서 졸업예정증명서를 요구하지 않다가 추가 제출을 요구해 늦게 제출했다는 것. 당시 학력제한이 없었기 때문에 필수 서류가 아닌 데다 재학생 신분이라 제출 대상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대필 여부는 의혹 제기자가 먼저 진본 서류임을 입증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다만 부적격 논란을 불러온 증명사진은 “요즘 젊은 친구들은 다 그렇게 한다”고 해명해 아쉬움을 남겼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2007년 국회의 요구로 고용정보원의 채용 과정을 감사한 결과, 채용 방식에는 문제가 있었지만 특혜 채용은 없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특정인을 취업시키기 위해 사전에 의도적으로 채용 공고 형식 및 내용 등을 조작했다는 확증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 아울러 준용 씨를 포함한 “외부 응시자들은 전공분야 수상경력, 회사 근무경력 등으로 자질 및 경쟁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 부적격자를 채용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해명에도 불구하고 문재인 후보와 당시 고용정보원 원장직에 앉아있던 권재철 한국고용복지센터 이사장의 관계는 눈총을 받고 있다. 두 사람의 청와대 재직 시절이 겹치기 때문이다. 문재인 후보가 민정수석일 때 권재철 이사장은 민정수석실 산하 노동비서관으로 함께 일했다. 양측은 관계성을 부인했다. 특히 문재인 후보 측은 만약 두 사람의 관계로 특혜가 있었다면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진작 터졌을 일이라고 반박했다.

◇ 안철수, 부인 특혜 임용 의혹 “서울대에서 답해야”

▲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부인 김미경 서울대 교수의 특혜 임용 의혹과 관련 전문성 미흡이 지적됐으나 구체적 해명 대신 임용을 결정한 서울대로 답변을 미뤘다. <뉴시스>
안철수 후보의 대선 레이스에서 김미경 교수가 혹독한 신고식을 치르고 있다. ‘조용한 내조’로 언론의 눈을 피해왔던 그였지만, 본격적인 검증 대열에 올라서면서 갖은 구설에 휩싸였다. 위안부 피해자 이순덕 할머니의 빈소에서 선거운동을 했다는 의혹으로 비판을 받은 데 이어 국가공무원인 의원실 보좌진에게 사적 업무를 지시한 사실이 폭로되면서 갑질 논란을 불러왔다. 무엇보다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특혜 임용 논란이다. 

논란의 핵심은 전문성 부족이다. 병리학을 전공한 김미경 교수는 미국에서 법학을 공부, 스탠포드대학에선 법과생명과학센터 연구원을 2년 지냈다. 따라서 2008년 카이스트 생명과학정책 분야의 부교수로 임용된 데 이어 2011년 같은 분야로 서울대 정교수에 임용된 것과 관련 전공자가 아닌 만큼 연구실적 등이 임용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 하지만 김미경 교수는 실적이 저조했다. 남편 안철수 후보의 후광에 따른 이른바 ‘1+1(원플러스원)’ 특혜 의혹이 불거진 이유다.

실제 김미경 교수는 카이스트에서 재직한 3년여 동안 연구실적이 총 7건에 불과했다. 그중 하나는 일간지에 기고한 칼럼이었고, 단독 저자로 발표한 영문 저서는 5페이지 분량의 소고였다. 때문일까. 당시 서울대 회의록을 보면, 연구 실적 미흡으로 ‘전문성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한 차례 회의를 연기했다. 두 번째 회의에서 8대7로 의결돼 아슬아슬하게 임용됐다. 앞서 카이스트 임용 당시에도 김미경 교수는 논문 41개 가운데 관련 분야 논문은 단 하나였다.

주목할 부분은 당시의 언론보도다. 정황상 김미경 교수는 서울대 임용 절차를 시작하기도 전에 내정된 것으로 보인다. 2011년 6월13일 교수 임용이 결정됐으나, 이보다 두 달 전인 4월6일 강의 분야와 계획이 공표된 데 이어 4월20일 채용 결정 소식이 전해졌다. 하지만 당시 오연천 서울대 총장은 2012년 국감장에 출석해 절차상 문제는 없었다고 밝혔다. 안철수 후보 측이 의혹을 전면 부인하는 근거로, “문제가 있다면 서울대에서 답해야 할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에 민주당은 김미경 교수의 특혜 임용 의혹을 이번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으로 삼았다. 안철수 후보가 교수 영입 제안을 받고 부인의 채용을 제안한 조건부 채용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서울대 교수들의 증언을 토대로, 당초 김미경 교수를 법대 교수에 임용하려다 교수들의 반대에 부딪히자 생명공학정책이라는 특수 과목에 끼워 넣은 정황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혹이 계속되고 있지만 안철수 후보 측은 속 시원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