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대다수가 자신이 납부하는 통신요금 내역을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국내 한 이통사의 갤럭시노트8 번호이동에 대한 요금내역.<해당 통신사 홈페이지>

[시사위크=장민제 기자] 소비자 대부분이 자신이 납부하는 통신요금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잡한 통신요금 때문으로, 이통시장의 유통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성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대부분이 자신이 가입한 서비스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가입한 요금제가 음성전화나 문자, 데이터 등을 얼마나 제공하는지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중 24.3%만 ‘잘 알고 있다’고 답했고, ‘일부만 알고 있다’ 51.1%, ‘거의 모른다’ 19.2%, ‘전혀 모른다’는 5.4%로 집계됐다.

또 부가서비스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다는 사람은 17.7%에 불과했다.

이 같은 결과는 이통사들의 상품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상 고객이 납부하는 통신요금은 약정 및 그에 따른 단말기 보조금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에 이통사와 금융사의 제휴카드, IPTV 등 결합 또는 가족할인을 더할 경우, 일반고객들이 한눈에 알아보기엔 쉽지 않다.

이에 일각에선 이통사들이 단말기 판매를 하지 못하게 하는 ‘단말기 자급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단말기 자급제 도입 시 고객들은 스마트폰 등을 가전제품처럼 판매점에서 구매하고, 이통사 대리점에선 요금제를 선택해 가입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

김 의원은 “국민 대다수가 ‘호갱’이 되는 건 개개인의 문제라기 보다, 통신사와 대리점들의 수익 극대화를 위한 마케팅에서 비롯된 결과”라며 “통신사들의 가격, 품질, 서비스에 대한 건전한 경쟁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책 및 규제에 대한 전면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녹색소비자연대와 함께 실시한 이번 조사는 지난달 8일부터 13일까지 휴대전화 사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