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파트루쉐프 러시아 연방안보회의 서기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파트루쉐프 러시아 연방안보회의 서기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북러 정상회담 개최가 한반도 평화체제 건설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했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을 빠른 시기 초청하면서 6자회담 가능성도 열어 놨다. 다만 러시아의 참여가 비핵화 협상에 새로운 변수가 된다는 점에서 반가워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고민정 대변인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니콜라이 파트루쉐프 연방안보회의 서기와의 접견 자리에서 “북·러 정상회담이 북미회담 재개와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 촉진의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6월 오사카 G20을 계기로 푸틴 대통령을 만나게 되길 희망하고, 가급적 빠른 시기에 한국을 방문해 주기를 바란다”고 초청의사를 밝혔다.

이에 대해 파트루쉐프 서기는 “러시아와 한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정착이라는 똑같은 목표를 갖고 있다”며 “북·러 회담 결과는 외교채널을 통해 가급적 신속히 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해 북미협상이 성공하는 방향으로 한국이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표면적으로 북러 정상회담에 환영의 뜻을 밝혔지만, 속내는 복잡하다. 참여국가가 많아질수록 오히려 비핵화 합의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문 대통령이 추진했던 탑다운식 비핵화 협상 구상에 러시아는 당초부터 없었다. 한미 입장에서 푸틴 대통령의 한반도 비핵화 지지가 달가울 수만은 없는 이유다.

접견 자리에서 파트루쉐프 서기가 ‘러․중 공동행동계획’을 자세히 설명했지만 문 대통령이 “지금 시급한 과제는 북미대화 재개와 비핵화 촉진”이라고 선을 그은 것이 대표적이다. ‘러․중 공동행동계획’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청와대는 밝히고 있지 않지만, 비핵화 협상에 중국과 러시아가 참여하는 구상일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체제보장 논의를 할 때는 6자회담 체계가 가동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러시아의 이 같은 행보가 우리에게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오히려 러시아의 개입 여지를 주지 않기 위해 미국이 태도를 바꿔 북미협상을 서두를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일부 전문가들은 문 대통령이 러시아를 지렛대 삼아 북미협상의 동력을 이어가야 한다는 조언을 내놓는다.

26일 tbs라디오에 출연한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6자회담으로 판이 커지면 사실 미국의 위상과 역할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6자회담이 시작되면 차관보급 회담으로 격하되고 언제 결론이 날지 모른다”며 “(문 대통령이) 차라리 셈법을 바꿔서 북한이 거절할 수 없는 카드를 들고 북미 양자 정상회담으로 빨리 끌어내야한다고 (미국을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