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신촌로에 위치한 농협하나로유통 본사 전경. / 네이버지도
농협하나로유통 본사가 위치한 서울 마포구의 농협신촌복합빌딩 전경. / 네이버지도

시사위크=범찬희 기자  ‘하나로마트’를 운영하는 농협하나로유통이 성장통을 겪는 모양새다. 수익성 악화와 신사업 부진에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납품업체 장려금을 부당 수령한 사실이 드러나 기업 윤리에도 흠집이 나게 됐다.

◇ 뒷걸음치는 경영지표, 도덕성까지 흠집

농협경제지주의 중추인 농협하나로유통이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농협중앙회로부터 물적 분할된 지 어느덧 6년이라는 시간이 가까워 오지만 여전히 안정권에 접어들지 못한 채 불안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농협하나로유통은 2015년 법인 설립 후 사상 최악의 실적의 거뒀다. 전년 대비 무려 82% 감소한 54억원의 영업익을 달성하는 데 그쳤다. 영업익 급감의 영향을 받아 첫 당기순손실(△18억)을 경험했다.

매출과 원가율 부담에 큰 변동이 없음에도 수익성이 얼어붙은 건 회계기준 변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농협하나로유통의 감사보고서를 보면 이전까지 판관비 내역에는 없던 사용권자산상각비(27억)가 잡혀 있다.

이는 지난해부터 새 리스기준인 IFRS16가 적용됨에 따라 운용리스도 금융리스와 마찬가지로 사용권자산상각비를 영업비용으로 인식하게 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특허권이나 저작권, 영업권 등이 포함된 무형자산상각비도 전년 보다 26억원이 늘어 판관비 부담이 급증했다.

재무건전성도 뒷걸음치고 있다. 2016년 108% 수준이던 농협하나로유통의 유동비율은 단기차입금 증가 등의 이유로 인해 매년 10%p씩 빠져 지난해 71%까지 감소했다.

신규 사업도 청사진대로 그려지지 않고 있다. 농협하나로유통이 하나로마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난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선보인 하나로미니는 더딘 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 곳곳에 흩어져있는 노후한 소규모 하나로마트를 편의점형으로 탈바꿈시키는데 팔을 걷어붙였지만 미진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현재 전국에 분포해 있는 하나로미니는 총 57곳. 이는 올해까지 300개 지점을 확보하겠다는 당초 목표치에 크게 미달한 수치다. 이는 하나로미니의 성패를 좌우하는 지역농협의 참가가 저조하기 때문으로 전해진다.

경영지표에 경고등이 켜진 가운데 농협의 ‘섬김경영’ 철학에도 흠집이 나게 됐다. 대규모유통업법 위반 혐의로 계열회사인 농협유통과 함께 억대의 과징금을 물게 됐다. 26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농협하나로유통은 지난 2017년부터 약 1년 3개월간 633개 납품업자와 거래하면서 물품구매공급계약서를 사전에 교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별도의 약정 체결 없이 납품업자 종업원을 부당 사용한 혐의도 있다.

뿐만 아니라 2015년 4월부터 약 3년 반 동안 기본장려금 성격으로 약 22억원을 납품업자로부터 수취한 것으로도 조사됐다. 이에 공정위는 농협하나로유통에 시정명령과 함께 6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는데, 이는 농협유통에 부과된 금액의 6배에 달하는 액수다.

이에 대해 농협하나로유통 관계자는 “현재 관련 내용을 내부 보고하는 단계에 있어 아직 명확한 입장이 정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