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7일 ‘대의원제 축소’와 ‘공천 룰 개정’에 대한 당헌 개정 의결을 앞둔 가운데, 비명계 의원들이 연일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진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홍익표 원내대표가 지난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7일 ‘대의원제 축소’와 ‘공천 룰 개정’에 대한 당헌 개정 의결을 앞둔 가운데, 비명계 의원들이 연일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진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홍익표 원내대표가 지난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시사위크=전두성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7일 국회에서 중앙위원회의를 열고 ‘대의원제 축소’와 ‘현역의원 페널티 강화 공천 룰 개정’에 대한 당헌 개정 의결을 앞둔 가운데, 당내 비명계(비이재명계) 의원들이 연일 부결을 호소하는 메시지를 내고 있다.

이원욱 의원은 이날 오전 BBS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나와 중앙위원들에게 부결을 요청하는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지방위원회와 당이 이렇게 망가져도 되나 싶은 게 이번 중앙위는 꼼수 안건에 꼼수 중앙위”라며 “다 모여서 오프라인에서 안 하고 온오프라인으로 섞어서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저도 온라인 회의 같은 것을 많이 해봤지만, 실제로 마지막 투표할 때나 (참여)하지 토론을 듣지 않는다. 그러면 지도부의 생각대로 그냥 표결만 한다”며 “왜 이렇게 추진하는가. 진짜 민주당의 ’민주‘라고 하는 단어를 왜 자꾸 부끄럽게 만드는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부결돼야 하는데 지금 이재명 대표 체제로 확고하게 굳어져서 부결까지 이를까에 대해서는 궁금하다”고 우려했다.  

전해철 의원은 전날(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공천룰과 관련해 1년 전 공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민주당의 시스템 공천의 근간이며 대원칙”이라며 “투표에 부쳐지는 ‘감산 기준’ 역시 공천룰과 관련된 내용이며 특별당규에도 명시돼 있다. 총선을 불과 5개월여 앞두고 바꾸는 것은 원칙을 허무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대의원제 축소와 관련해선 “총선 승리에 매진해야 하는 상황에서 총선과 직접 관련 없는 대의원제 관련 논란을 만들어 당의 단합을 저해하는 것 역시 부적절하다”며 “대의원제는 정당법에 근거를 두고 운용되는 것으로 어려운 지역의 의견을 반영하고 실질적인 지역위원회 활동을 위해 오랜 기간 운영돼 온 제도다. 당원들의 권리와 참여는 더 확대돼야 하지만 대의원 제도의 취지와 그간의 역사, 필요성 등을 간과해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홍영표 의원도 지난 5일 페이스북을 통해 “원칙은 유리할 때만 지키는 것이 아니다”라며 “원칙을 외면하면 가장 중요한 신뢰를 잃는다. 돈봉투, 코인, 사법 리스크, 선거법 개정 논란까지 우리 당 안에 독버섯처럼 자라난 온정주의와 이기주의가 당의 원칙과 약속을 헌신짝처럼 내버리고 있다”고 직격했다. 이어 “공천과 대의원제로 또다시 흔드는 것에 반대한다. 민주당의 원칙을 세우고 정당 운영의 신뢰를 지켜가며 오직 민심을 향해서만 걸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용진 의원은 같은 날 중앙위원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 당헌 개정안 1호 안건을 부결시켜 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문자 메시지에서 “당의 민주주의를 지키고 강한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힘을 모아 달라”며 “중앙위는 찬반 거수기가 아니며 집행부 독단적 의견 관철을 위한 요식행위 기관이 돼서도 안 된다”고 적었다.  

또 “안건 1호 개정안은 절차적 위헌일 뿐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무원칙하다”며 “이미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가 구성돼 현역의원에 대한 각종 평가가 진행됐고, 당원들과 지역주민 대상 여론조사도 진행되고 있다. 평가가 진행 중인데 평가 기준이 바뀐다는 것은 불공정한 일”이라고 했다. 

이번 표결에 부쳐지는 ‘대의원제 축소’와 관련된 안건은 당의 권리당원과 대의원 표의 반영 비율을 60:1에서 20:1 미만으로 변경하는 내용이 골자다. 또 ‘공천 룰’에 대한 안건은 총선 때 선출직 공직자 평가 하위 10%에 든 현역 의원의 경선 득표 감산 비율을 20%에서 30%로 올리는 것이 핵심이다. 이 같은 안건은 지난달 24일 당 최고위원회에서, 같은 달 27일 당무위원회를 통과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