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6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 거래 비중 40%대 기록
금리인상 등에 따른 이자부담으로 실수요층 ‘알뜰한 한 채‘에 관심

지난해 서울 지역 중저가 아파트의 거래 비중이 47.1%로 집계됐다.  / 뉴시스
지난해 서울 지역 중저가 아파트의 거래 비중이 47.1%로 집계됐다. / 뉴시스

시사위크=김필주 기자  정부가 12억원 초과 아파트의 중도금 대출 제한 전면 폐지 등 고가 아파트를 상대로 규제 완화에 나선 가운데, 지난해 서울에서는 중저가 아파트 위주로만 거래가 활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된 금리인상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이자부담 등으로 인해 실수요층이 고가주택 보다는 중저가주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16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격 자료(11일 기준)를 집계한 결과 작년 4분기 서울 내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47.1%로 조사됐다. 이는 2021년 4분기 30.2%와 비교해 16.9%p(퍼센트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에 반해 서울에서 12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는 1년 새 30.1%(2021년 4분기)에서 18.1%(작년 4분기)로 절반 가까이 급감했다.

지난해의 경우 2분기(33.7%)를 제외한 1분기(40.3%), 3분기(45.6%), 4분기(47.1%) 모두 6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40%대를 넘어섰다.

반면 12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1분기(23.4%)에서 2분기(28.4%)로 넘어갈 때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3분기(21.9%)‧4분기(18.1%) 동안은 감소세로 전환됐다.

서울에서 12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강남3구(서초‧강남‧송파) 및 용산구의 경우 작년 4분기 송파구를 제외한 다른 3구는 전년 동기 대비 거래 비중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용산구의 경우 2021년 4분기 70.5%에서 지난해 4분기 58.6%로 11.9%p 내려갔다. 같은 기간 서초구는 74.7%에서 62.9%로 11.2%p, 강남구는 71.5%에서 68.9%로 2.6%p씩 각각 감소했다.

다만 송파구는 62.3%에서 72.1%로 9.8%p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송파구에서 헬리오시티(24건), 잠실엘스(19건), 리센츠(13건), 파크리오(11건), 잠실주공5단지(11건) 등 12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의 거래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서울 매매가격대별 아파트 거래 비율 / 국토부 실거래가격 기반 직방 가공
지난해 서울 매매가격대별 아파트 거래 비율 / 국토부 실거래가격 기반 직방 가공

한편 중저가에 속하는 소형 아파트의 매매 비중도 점점 늘고 있다.

최근 ‘경제만렙’이 한국부동산원의 규모별 아파트 매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 총 1만4,383건 중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 매매는 7,94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 비중 가운데 55.3%에 해당하는 규모로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1~11월 기준)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기도 하다.

서울 소형 아파트 매매 비중은 △2017년 36.6% △2018년 36.9% △2019년 41.0% △2020년 42.2% △2021년 46.4%에 이어 지난해 55.3%까지 5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 시중은행 부동산 전문가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6회에 걸친 금리인상으로 집값이 큰 폭으로 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주담대 등의 이자상환이 비교적 수월한 소형‧중저가 아파트를 선택하는 ‘알뜰형’ 수요자들이 늘고 있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올해 역시 한은이 이미 한 차례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한 만큼 이같은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집값 급등으로 인해 각종 규제를 남발한 문재인 정부 당시에는 ‘똘똘한 한 채’가 실수요층의 관심을 받았다면 지금과 같은 집값 하락‧금리인상 시기에는 ‘알뜰한 한 채’에 실수요층의 시선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지난 2021년부터 주택가격 변화에 따라 양도세‧종부세 등 세제와 대출 등 금융부문에서 고가주택 기준이 시기적인 차이를 두고 조정되어 왔다”며 “그러나 작년부터 미 연준(FED)과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이 급격히 단행되면서 아파트 매매시장이 침체기에 빠져들게 됐고 정부의 고가주택 대상 규제 완화는 시장 내 거래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2년 후반부터 규제지역 해제 등 부동산시장 연착륙을 위한 정부의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면서도 “다만 추가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지속 등 대외적 환경에 대한 불안이 여전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