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전두성 기자 이원석 검찰총장의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에 대한 신속 수사 지시를 놓고 여야는 각기 다른 해석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에선 특검(특별검사)을 막기 위한 의도라고 보는 반면 여권에선 이 총장의 임기 내에 논란을 매듭짓고 가겠다는 의지로 봐야 한다는 해석이 나왔다.
검사장 출신인 양부남 민주당 당선인(광주 서구을)은 7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22대 국회가 개원하면 김 여사 특검 가능성이 높은 시점에서 수사 지시가 이뤄졌다”며 “이것은 특검 방탄 물타기 아니냐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검찰이 수사를 하면) 특검이 이뤄졌을 때 대통령실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할 수 있다”며 “또 하나는 이 사건은 언론과 여러 법조계 일각에서도 법리적으로 기소하기 어렵다는 설이 많지 않은가. 그렇다면 검찰 입장에서는 우리가 한번 수사해서 국민 앞에 검찰이 살아있는 권력에 손을 댔다는 그런 모습도 취하고, 대통령실에 크게 부담도 주지 않는 등, 부정적으로 보면 이런 생각이 들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도 특검을 막기 위한 수사 지시로 판단했다. 그는 전날(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총장이 ‘김건희 디올백’ 수사를 지시하자 이제 검찰이 제대로 수사할 수 있다는 기사들이 나온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검찰의 행태를 기초로 볼 때 다르게 예상한다”며 “검찰, 총선 민심을 생각하는 생색을 내고 각종 특검법을 막기 위해 김건희 씨에게 소환 통지한다”고 적었다. 이어 김 여사가 소환을 거부하면 검찰이 서면 조사로 마무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조 대표는 “이 총장의 의도는 디올백 수사를 세게 하는 척 하면서 국민이 검찰의 도이치모터스 수사 방기(放棄)를 잊게 만들려는 것”이라며 “도이치모터스 수사팀 검사들은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가. 다음 인사에서의 승진 생각에 꼬리를 내리고 있는가. 실명을 하나하나 거론하고 싶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야권의 주장에 여권에선 “문자 그대로 해석한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고 나섰다.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제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2년을 하면서 법사위에서 만났던 이 총장은 담백하고 검찰의 명예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정치와 거리를 두려고 애쓰는 분”이라며 “아마 (이 총장의) 임기가 4개월 남은 걸로 알고 있다. 자기가 임기 안에 기존에 있는 것들을 어느 정도 마무리해서 새로운 검찰총장이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을 수 있도록 해 주겠다’는 마음 정도라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가 아는 이 총장은 누가 전화해서, 누가 지시해서 또는 그 이후에 정치적 이해관계를 따져서 과속을 하든지 속도를 줄이든지 이럴 사람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과 검찰의 갈등설이 나오는 것에 대해선 “갈등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검찰이 용산(대통령실)의 명령만 무조건 들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검찰의 독립성과 중립성을 지켜줘야 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민주당, 22대 국회서 ‘대여 공세’ 수위 높인다
- 민주당, 대통령실 ‘채상병 특검법’ 거부권 시사 맹비판
- ‘채상병 특검법’ 야당 단독 처리… ‘극한 대치’ 이어진 21대 국회
- 대통령실 민정수석실 검토에 ‘우려’ 제기된 이유
- 민주당, 채상병‧전세사기 특별법 처리 의지 ‘재확인’… “하늘 두 쪽 나도 통과”
- 여야, 오늘 본회의서 ‘이태원 특별법’ 처리
- ‘빈손’ 영수회담에 5월 국회도 ‘난항’ 예고
- ‘검찰 압박’에 손잡은 민주당‧조국혁신당
- 민주당, 서울중앙지검장 등 검찰 인사 ‘맹폭’… “김건희 방탄 신호탄”
- 정치권, 김건희 여사 공개 행보에 엇갈린 반응
- 이성윤, ‘김건희 종합 특검법’ 발의… “100여명 수사 인력 투입해 신속 수사”
- 국민의힘 당권주자들 “김 여사 명품백 검찰 조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