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손지연 기자 티몬·위메프(티메프) 대금 미정산 사태에 따른 홈쇼핑 업계 피해 금액이 13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향후 도래 예정인 결제 대금을 포함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 소속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티메프 사태 관련 홈쇼핑 대응방안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홈쇼핑 업계는 각 사별로 피해 상황을 파악 중이며 법적 조치 등 대응책을 마련 중이다.
이날 기준 업체별 피해금액은 △W쇼핑 30억원 △신세계라이브쇼핑 28억원 △우리홈쇼핑 16억원 △NS쇼핑 12억원 △KT알파 12억원 △GS리테일 9억원 △공영홈쇼핑 8억4,000만원 △SK스토아 7억6,000만원 △현대홈쇼핑 4억7,000만원 △TRN 5억1,000만원 △CJ ENM 1억2,000만원 △홈앤쇼핑 9,000만원 등으로 최대 피해 금액은 30억원에 달한다.
현재 피해 홈쇼핑 업체들은 상품 판매를 중단한 채 정확한 피해건수를 파악 중이다. 향후 도래 예정인 결제 대금까지 포함할 경우 피해액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피해는 위메프·티몬·인터파크쇼핑·AK몰 4개사를 통해 판매를 진행했던 식품·패션·가전 등 상품에서 주로 발생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홈쇼핑사는 티메프의 판매대금 정산 여부와 상관없이 납품업체에게 정산일에 맞춰 대금을 지급하는 등 소비자와 납품업체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한 일부 홈쇼핑의 경우 보증보험에 가입해 있어, 보증보험을 통한 구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티메프 사태로 전자상거래 업계 전체는 물론이고 특히 소규모 납품업체와 소비자들의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홈쇼핑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점은 다행”이라며 “소상공인과 소비자들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게 하겠다는 뜻을 높이 평가하며, 홈쇼핑 업계 전반이 이번 사태로 위축되지 않도록 살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티메프 사태 후폭풍… 컬리 IPO ‘재도전’ 영향 미칠까
- 소공연 “티몬‧위메프 사태 ‘재발 방지책 마련’ 필요”
- 구영배, ‘티몬·위메프’ 돌려막기 의혹에 묵묵부답… 여야, “사기행위” 직격
- [르포] 문 걸어 잠근 티몬‧위메프… 소비자‧셀러 피해는 ‘악화일로’
- 당정, ‘티몬·위메프’ 사태 수습에 사활
- 티몬·위메프 파장 지속… 국회 정무위 긴급 질의 예고
- 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 파문 ‘일파만파’
- 위메프, 큐텐과 협업 시너지 낼까
- 덩치 키우는 큐텐, 글로벌 이커머스 위시 인수
- 당정, 티메프 대책 논의… 일반상품 이번주 중 환불 완료 지원
- 정부, ‘제2의 티몬‧위메프’ 어떻게 막을까… 대책 마련 ‘고심’
- ‘티메프’ 집단분쟁조정 9,028명 신청… 공정위원장 “속도 내달라”
- 서울시, ‘티몬‧위메프’ 입점 피해 소상공인 확대지원 나서
- 티메프 회생절차 개시… 공정위, 정산기한 손질
- 홈쇼핑 4사, 위기 넘겼다… 일제히 수익성 개선 ‘눈길’
- 공영홈쇼핑 대표 인선 놓고 잡음… ‘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