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연미선 기자 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사상 처음으로 연간 매출액 1조원을 돌파했다.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던 2023년과 달리 1년 만에 흑자 전환을 이뤄내면서 시장에서는 이들의 기업공개 시기에 주목하고 있는 모양새다.
◇ 매출 1조원 ‘돌파’… 영업이익‧순이익 ‘흑자 전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패션 플랫폼 무신사는 지난해 연결기준 연간 매출액 1조2,42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25.1% 증가한 수준이다. 무신사 별도 기준 매출액도 24.6% 늘어난 1조1,005억원을 달성했다. 세부적으로 수수료 매출 4,851억원(24.3%↑), 상품 매출 3,760억원(15.0%↑), 제품 매출 3,383억원(29.9%↑)으로 각각 집계됐다.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돼 1,028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69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무신사가 그동안 꾸준히 외형을 키워온 데 반해 수익성이 지속 악화했던 점을 고려하면 괄목할 만한 성적이다.
공시에 따르면 무신사는 연간 매출액 △4,613억원(2021년) △7,083억원(2022년) △9,931억원(2023년) 등을 기록했다. 반대로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85억원 △113억원 등으로 급락하더니, 2023년엔 86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당기순이익도 2022년 적자 전환돼 562억원을 기록했다.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는 2024년 연결기준 1,951억원으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무신사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오프라인 진출을 본격화한 무신사 스탠다드의 성장세도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면서 “2024년에만 14개의 신규 매장을 오픈한 무신사 스탠다드는 연간 1,200만명의 방문객을 유치한 결과 오프라인 매출이 2023년보다 3.3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는 무신사, 29CM, 글로벌 등 주요 플랫폼 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한 테크 인프라 및 인재 영입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신사업 확대 및 부실 자회사 정리 ‘주효’
무신사는 지난해 3월부터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한 바 있다. 앞선 3년간 무신사를 이끌어 온 한문일 대표는 글로벌&브랜드 사업 대표로, 박준모 대표는 무신사와 29CM를 관장하는 플랫폼 사업 대표를 맡게 됐다. 이와 함께 조만호 총괄 대표가 2021년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지 3년 만에 복귀했다.
적자 전환되며 악화한 수익성을 회복하는 게 조만호 대표의 주요 과제로 여겨졌던 가운데, 시장에서는 조 대표의 경영 능력이 지난 1년간의 성장에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커머스 플랫폼 간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 속에서, 뷰티‧스포츠‧홈 등 카테고리를 확대하고 오프라인‧글로벌 등 신사업이 고르게 성장하도록 이끌었다는 평가다.
이와 함께 한정판 플랫폼 ‘솔드아웃’을 운영하는 SLDT와 합병하고 부실 자회사를 정리하는 등의 전략도 실적 개선의 주요 이유로 꼽힌다. 무신사에 따르면 SLDT는 지난해 초 비상 경영을 선포한 이후 강도 높은 체질 개선을 추진했다. 무신사는 1~12월 누적 기준 영업손실 규모가 전년 대비 43%까지 줄어들 것이라 관측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무신사는 지난달 31일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이행희 전 한국코닝 대표이사 △이황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임수현 DS프라이빗에쿼티 대표이사 등 3인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무신사가 사외이사를 선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임 사외이사들의 임기는 오는 2028년 3월 말까지 3년간이다.
이와 더불어 이사회 내부에 감사위원회를 비롯해 임원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 위원회도 신설했다. 무신사는 각각의 위원회가 사외이사 2인과 사내이사 1인의 구성으로 활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러자 일각에선 무신사의 이러한 작업을 두고 기업공개를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패션업계에 따르면 무신사는 조만간 상장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 배포에 나설 계획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 사업보고서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31002442 |
|
|---|---|
| 2025. 03. 31.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