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수준이 높아진 가운데, 정부가 최근 밥상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 뉴시스
누적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수준이 높아진 가운데, 정부가 최근 밥상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 뉴시스

시사위크=연미선 기자  누적된 고물가로 소비 심리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밥상 물가 안정을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지난 16일 물가관계차관회의서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제1차관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2% 내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면서도 “그간 누적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수준이 높고, 먹거리 등의 가격상승률도 여전히 높아 생계비 부담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에너지·먹거리 등 시급한 과제들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 안정 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최근 중동사태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에 대응해 유류세 인하와 유가 연동 보조금 지급을 2개월 연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밥상 물가 안정을 위해 할인지원, 할당관세, 추경 등 가용 수단을 총동원한다.

이에 따라 여름철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해 6~7월간 농축수산물할인지원에 46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돼지고기·닭고기·과일 등 주요 품목도 할인이 적용된다. 이와 함께 할인 한도도 2배로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는 계란·닭고기 등 가격·수급 관리가 필요한 품목에 대해선 맞춤형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이에 발맞춰 계란 산지 가격 인상과 관련해 담합 조사를 추진한다. 브라질산 닭고기는 21일 지역화 완료 즉시 수입절차를 재개해 8월 중순부터 국내에 공급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식품·외식업계의 원가 부담 완화를 위해 과일·칵테일 등 식품 원료 4종에 대한 할당관세가 연말까지 연장된다. 또한 중소·중견 식품기업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추경안에‘국산’ 농산물 구매지원 저리 정책자금 200억원을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애로해소 지원과 함께, 업계와 소통을 강화해 가격 인상 품목과 인상률 최소화, 인상 시기 이연, 할인행사 진행 등 소비자 부담 최소화에 동참할 것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