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민지 기자 교육부가 올해 2학기부터 수행평가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수행평가 운영방식을 개선한다.
수행평가는 암기 위주 지필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고차원적 사고 능력 발달 지원을 위해 1999년 처음 도입됐다.
그러나 최근 수행평가의 시행 횟수가 많거나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등으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우려하는 현장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교육부는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를 회복하고, 학생들의 과도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두 가지 대책을 우선 추진한다.
먼저 교육부는 모든 수행평가는 수업시간 내에 이뤄진다는 원칙을 철저히 적용할 방침이다. 학교는 자체 점검표를 활용해 학습 부담 유발 요인을 스스로 개선하고, 시도교육청은 매학기 시작 전 모든 학교의 평가 계획을 면밀히 점검하겠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부모 도움 등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높은 ‘과제형 수행평가’와 과도한 준비가 필요한 ‘암기식 수행평가’ 등 수행평가 원칙에 벗어난 평가가 운영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수행평가 운영에 대한 현장 안내도 실시된다. 7~8월 중 시도교육청별로 학교 관리자와 평가 담당자 대상으로 △수행평가 도입 취지 △평가 운영 관련 규정 및 유의사항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또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의 협의를 통해 수행평가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개선요구를 면밀히 검토하고, 필요한 관련 지침을 개정할 계획이다.
김천홍 책임교육정책관은 “수행평가는 단순한 시험을 넘어서 학생의 성장과 변화를 지원하는 교육의 중요한 과정”이라며 “학교가 수업과 평가의 본래 목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제도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