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3월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발달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한 공직선거법 일부개정안 발의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사진은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3월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발달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한 공직선거법 일부개정안 발의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시사위크=정소현 기자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비만 유병률은 높지만, 실제로 병원을 찾는 진료 인원은 고소득자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고혈압과 당뇨병, 고지혈증 역시 소득분위별 진료 격차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서미화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비만 발병률은 낮았다. 2023년 기준, 소득 하위 20%의 비만 발병률은 38%였고 상위 20%는 31%로, 양 계층 간 7%p(퍼센트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비만의 대표 지표인 허리둘레를 비교해 보아도, 저소득층의 기준 이상 비율이 고소득층보다 4.9% 높았다.

그러나 정작 저소득층일수록 비만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인원은 적었다. 2024년 소득분위별 비만 진료 인원을 보면, 1분위는 1,243명, 10분위는 3,425명으로 무려 2.76배 차이가 났다. 1,2분위와 9,10분위를 비교하더라도 2,801명과 5,925명으로 약 2.11배가 차이났다. 특히 1인당 진료비를 비교하면, 1분위는 135.6만원, 10분위는 93.7만원으로 1분위 국민의 진료비가 10분위보다 1.45배 높았다.

비만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서도 뚜렷한 격차가 나타났다. 2024년 기준 상·하위 10% 진료 인원 차이는 고혈압이 2.05배, 당뇨병은 2.01배, 고지혈증은 2.43배다. 상·하위 20%로 범위를 확대해도, 고혈압은 상위 20%가 하위 20%보다 1.84배, 당뇨병은 1.81배, 고지혈증은 2.08배 더 많았다.

한편, 전체 비만 진료 인원은 줄어드는 추세지만, 고령층에서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비만 진료 인원은 2020년 2만5,352명에서 2024년 2만672명으로 18% 감소했지만, 60세 이상 진료 인원은 같은 기간 1,662명에서 1,881명으로 13.2% 증가했다.

서미화 의원은 “매년 증가하는 성인병 진료인원 증가로 인해, 공단부담금과 개인부담금 등 사회적 비용이 점점 커지는 상황”이라며, “소득분위에 따라 진료인원이 극명하게 차이나는 것은 소득에 따라 진료받지 못한 사각지대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저소득층의 높은 비만 발병률을 낮추지 못하고 합병증으로 이어지게 방치한다면, 가난이 더 큰 가난을 야기하는 악순환이 될 것”이라며, “정부는 비용으로 진료를 고민하는 인원을 발굴하고, 발병률 저하를 통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