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김두완 기자 서울시가 추진 중인 ‘한강버스’에서 또다시 운항 사고가 발생하며 안전성 논란이 재점화됐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 새서울준비특별위원회(위원장 박주민)와 오세훈 시정실패 정상화 TF(단장 천준호)는 16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며 한강버스의 전면 중단과 사업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후 9시경 잠실 선착장에서 한강버스가 수심 저하로 접안에 실패해 수상에서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다. 승객 일부는 소형 선박으로 옮겨 타야 했고, 어린이 승객들이 담요를 덮고 대기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119 구조대가 출동해 안전 조치를 했으며, 인명 피해는 없었다.
민주당은 이번 사고가 “충분히 예견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개통 첫날부터 설비 결함이 제기됐고, 집중호우·팔당댐 방류로 잦은 운항 중단이 이어졌으며 △방향타 고장 △선착장 구조물 충돌(5월) △철제 부표 충돌 사고(10월) 등 운영 과정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반복됐다는 것이다.
특히 한강의 수위 변화와 야간 시야 확보 문제 등 자연·환경적 조건이 정기 운항에 적합한지에 대한 의문은 초기부터 제기돼 왔다. 민주당은 “서울시는 반복된 사고를 충분히 공개하지 않아 은폐 의혹까지 불러일으켰다”며 “대중교통을 표방한 사업이 오히려 시민 안전 위협하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시는 지난 7일 설명자료에서 “근거 없는 의혹 제기로 시민의 불안감을 조성해서는 안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사고 대응 체계와 안전 인프라 개선 없이 의혹 제기만 문제 삼는 건 사태의 본질을 회피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강버스는 오세훈 시장의 ‘한강 르네상스’ 정책의 상징 사업 중 하나로 추진됐지만, 수위 변동·기상 상황 등 외부 변수에 취약해 안정적 운항이 가능하겠냐는 논란이 지속돼 왔다. 잇단 사고로 ‘안전성·운영성·경제성’ 등 핵심 쟁점이 재부상하면서 사업의 구조적 한계가 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또한 ‘대중교통’이라는 사업 취지와 달리 실제 운항 일수가 제한적이고, 안전사고 공지·정보 공개가 투명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이어져 왔다. 민주당이 “예견된 사고”라고 강조한 이유도 이러한 구조적 문제와 초기 운영 과정에서 드러난 관리 부실을 근거로 한다.
정치적 측면에서도 이번 사고는 오세훈 시장의 한강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평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서울시가 최근 브리핑에서 의혹 제기에 선을 그은 만큼, 향후 서울시의 설명과 사고 조사 결과가 여야 공방의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