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취리히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스위스 동포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공연단을 격려하고 있다. /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취리히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스위스 동포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공연단을 격려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새해 첫 순방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 일정을 마치고 스위스 다보스로 이동해 ‘공급망 협력’에 초점을 둔 경제외교 행보를 이어갈 예정이다. 한국 정상이 다보스포럼에 직접 참석하는 것은 2014년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 9년 만이다.

윤 대통령은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 참석해 특별 연설을 하고, 글로벌 최고경영책임자(CEO)를 만나 '한국을 혁신 허브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힐 전망이다.

앞서 윤 대통령은 UAE 일정에서 300억달러(약 37조2,600억원)의 투자 유치 협약을 맺는 등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이에 스위스에서는 글로벌 복합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공급망 협력’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 스위스서도 경제외교 행보

윤 대통령은 18일(이하 현지시간)부터 19일까지 다보스포럼에 참석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의 경제외교는 첫날부터 시작된다. 이날 윤 대통령은 국내외 주요 글로벌 기업 CEO들과 오찬 간담회를 할 예정이다. 다보스포럼에 참석한 기업인들과 공급망 안정,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 대응 등에 대한 해결책과 민간과 정부의 역할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이 자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김동관 한화 부회장 등 우리나라의 주요 기업 대표와 인텔, IBM, 퀄컴, JP모건, 무바달라, 블랙스톤, 그랩, 네슬레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 CEO들, 그리고 추경호 경제부총리 등 정부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한국의 ‘혁신 허브’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복합위기 극복과 지속 성장을 위해 글로벌 CEO들에게 한국 기업과의 협업 및 한국 투자 확대를 당부하기 위함이다. 

윤 대통령은 다음날인 19일에는 다보스포럼에 참석해 단독 특별연설을 할 예정이다. 이번 다보스포럼에서는 ‘분열된 세계에서의 협력’을 주제로 하고 있다. 포럼에서는 에너지 및 식량 위기 대응, 고물가‧저성장 등 경제 대응, 산업 역풍 대응, 사회적 취약성 대응, 지정학적 위기 대응 등 5개 주제를 두고 논의할 예정이다. 

◇ 다보스포럼 특별연설의 의미

윤 대통령은 연설을 통해 공급망 강화, 청정에너지 전환, 디지털 질서 구현을 위한 연대의 길을 제시할 것으로 전해진다. 윤 대통령은 최근 기술 패권경쟁과 지정학적인 갈등, 기후위기 등 인류 공통의 도전에 대한 해결책으로 ‘연대와 협력’을 역설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대와 협력은 보편적 가치를 토대로 한 것이다. 

대통령실 역시 다보스포럼 연설을 계기로 대한민국이 글로벌 무대에서 복합위기에 대응하는 주도적 역할과 의지를 각인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UAE에서는 양국의 협력을 보여주는 투자 유치가 있었다면, 스위스 일정을 통해서는 글로벌 무대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는 한국의 위상을 확인하는 셈이다. 

또 글로벌 CEO들과의 간담회와 다보스포럼 특별연설에서 공통적으로 주목할 주제는 ‘공급망 강화’다.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의 공급망 협력은 윤 대통령이 취임 후 지속적으로 언급해왔던 주제다. 이는 세계 경제가 블록화되면서 공급망 협력이 구축되지 않으면 국내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김은혜 홍보수석은 17일 현지 브리핑을 통해 “고물가에 고금리까지 겹친 복합위기에서는 어느 한 국가, 한 기업만으로 대처하기 힘들 것”이라며 “윤 대통령은 그 어느 때보다 보편적 가치를 토대로 한 연대와 협력만이 위기에 맞설 해결책임을 강조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윤 대통령은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를 위한 ‘한국의 밤’ 행사에서는 다보스에 모인 유력 인사들을 대상으로 국제 협력 프로그램인 부산 이니셔티브를 알린다. 이어 스위스 순방 마지막 일정으로는 취리히 공과대학에서 석학들과 만나 과학기술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한 뒤 설 연휴 첫날인 21일 귀국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