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적인 외관 디자인, 볼륨감·역동성 강조
파노라믹 아이-콕핏, 조작 편의성 한층 개선
파노라마 선루프·통풍시트·무선 미러링 등 탑재
시사위크|가평=제갈민 기자 푸조의 준중형 SUV 3008 모델이 완전히 달라진 신형으로 한국 시장에 상륙했다. ‘푸조 올 뉴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HEV)’는 오는 11일 국내 시장에서 공식 판매를 개시하는데, 상품성을 개선하고 디자인과 인테리어도 완전히 달라졌음에도 합리적인 가격에 출시돼 소비자들의 관심이 뜨거울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8일 푸조는 서울 송파구 잠실역 인근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호텔에서 미디어 시승행사를 개최했다. 시승은 소피텔 서울에서 출발해 경기도 가평군 글램트리 리조트까지 오가는 왕복 106㎞ 구간으로, 올림픽대로와 서울·양양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그리고 리조트까지 산길(업힐·다운힐) 코스로 구성됐다.
이번에 시승한 푸조 올 뉴 3008 HEV(이하 3008 HEV) 모델은 8년 만에 완전변경(풀체인지)을 거친 신차로, 푸조 모델 중에서도 가장 최신 디자인 언어를 적용한 모델이다. 새로워진 3008 HEV는 2세대 모델 대비 사이즈가 커졌고, 한층 더 입체적인 디자인을 적용해 볼륨감이 돋보인다.
독특한 전후면 디자인도 압권이다. 앞모습은 프런트 범퍼와 라디에이터그릴의 구분이 없다. 여기에 라디에이터그릴은 가운데에 위치한 푸조 방패 엠블럼 주위에 작은 문양이 좌우 바깥으로 갈수록 입자가 커지는 형태의 ‘그라데이션 그릴’을 적용해 입체적이면서도 독특한 디자인을 완성했다.
여기에 보닛(후드)과 라디에이터그릴 사이 좌우에 얇고 날렵한 디자인의 헤드램프를 적용했고, 헤드램프 아래로는 사자 발톱 형상의 주간주행등(데이라이트)을 그려 넣어 푸조 패밀리룩인 ‘펠린룩’의 완성도를 높였다.
측면에서 차량을 보면 각도가 아주 많이 뉘어진 프런트 글라스(앞유리)부터 루프(천장) 끝부분에서 완만하게 떨어지는 리어 글라스(뒷유리)까지 이어지는 곡선미 덕에 차체가 낮아 보이는 효과가 돋보인다. 특히 2열 도어 뒤쪽 C필러 부분은 삼각형 모양의 검은색 글라스 장식이 덧대져 있는데, 이 장식 덕에 독특한 이미지가 한층 더 부각된 모습이다.
또 루프 뒤쪽 끝부분 ‘플로팅 스포일러’ 좌우에 ‘고양이 귀(캣츠 이어)’처럼 생긴 장식 덕에 측면이나 후면을 볼 때도 입체감이 느껴진다. 고양이 귀 같이 생긴 장식은 공기저항을 낮추는 데에 도움을 준다는 게 푸조 측의 설명이다.
트렁크도어와 리어 범퍼도 입체감이 두드러지도록 굵은 캐릭터라인을 그려 넣었으며, 좌우 리어램프가 이어져 있는 것처럼 트렁크도어를 가로지르는 검은색 장식을 더해 깔끔한 디자인을 완성했다.
실내 디자인도 크게 바뀌었다. 푸조의 차량 실내 인테리어에는 독특한 점이 있는데, 스티어링 휠 너머 대시보드 위에 계기판이 플로팅 타입으로 설치된 점이다. 이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설치하지 않고도 운전자가 속도계를 보다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디자인한 것이다. 이번 신형 모델에는 대시보드 위에 계기판만 솟아있는 것이 아닌 계기판 오른쪽으로 메인 터치 디스플레이까지 가로로 길게 설계해 조작편의성과 내비게이션 시인성까지 개선했다. 푸조에서는 이를 ‘파노라믹 아이-콕핏’이라고 부른다.
또 기어(P·R·N·D)를 조작하는 레버·셀렉트는 센터터널 상단이 아닌 스티어링 휠 우측 앞쪽 대시보드에 위치하는데, 일상적인 주행을 하는 동안에는 기어레버를 만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은 없다. 기어레버 왼쪽에는 시동을 켜고 끄는 버튼이 있고, 오른쪽에는 가로로 긴 송풍구 2구와 그 아래에 메뉴·전화·내비게이션(안드로이드 오토·애플 카플레이)·홈버튼이 터치식으로 배치됐다.
안드로이드 오토와 애플 카플레이 스마트폰 미러링 기능은 블루투스 무선으로 지원해 편리하며, 공조기 등 다른 화면을 조작하다가도 바로 미러링 내비게이션으로 돌아갈 수 있는 퀵버튼이 배치된 점도 조작 편의성을 고려한 부분이다.
운전석과 조수석을 나누는 센터터널 부분 디자인도 많은 변화를 거쳤는데, 대시보드 바로 아래에 동굴식으로 스마트폰 무선충전패드를 설치했고, 그 뒤로는 공조기 관련 버튼과 내기·외기 순환 버튼, 그리고 왼쪽에는 주행모드 변경(드라이브 셀렉트) 레버와 삼각형 모양의 비상등을 배치했다. 드라이브 셀렉트와 비상등은 운전자 입장에서 아주 가까운 위치에 마련돼 조작이 아주 편리하다. 그 아래(뒤쪽)로는 오디오 볼륨 다이얼과 전자식 사이드 브레이크 레버가 설치됐다.
컵홀더는 사이드 브레이크 레버 오른쪽에 앞뒤로 2구가 설치됐으며, 컵홀더 크기는 일반적인 카페의 테이크아웃 플라스틱 컵을 2개 보관하더라도 간섭이 없는 수준으로 크기를 키웠다. 컵홀더 앞쪽으로는 덮개가 있는 수납함이 하나 마련돼 있고, 컵홀더 뒤에는 덮개가 좌우로 열리는 콘솔박스가 위치한다.
콘솔박스 내부 앞쪽에는 에어컨이나 히터를 작동했을 때 공기를 콘솔박스 내부로 바로 보낼 수 있는 원형의 작은 송풍구가 설치돼 있다. 여름철에는 콘솔박스 내부에 캔음료를 1∼2개 넣어두고 에어컨을 켜면 음료를 보다 오랫동안 시원하게 보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열 공간은 좁게 느껴지지는 않으며, 시트는 단단하면서도 편안한 느낌이다. 2열 시트 중앙 등받이 부분을 내리면 팔걸이 겸 컵홀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컵홀더 앞쪽에는 스마트폰을 가로로 뉘어 보관할 수 있도록 작은 홈이 파져 있다. 1열 중앙 콘솔박스 후면에는 송풍구가 설치돼 있고, 그 아래에는 2열 열선 조작 버튼이 터치로 설치됐다. 2열 공조기를 별도로 조작할 수는 없지만 큰 불편함은 없는 정도다. 콘솔박스 후면 하단에도 작은 수납공간이 마련돼 있고, C타입 USB 단자도 2개가 마련돼 있다.
또한 파노라마 선루프가 차체 크기 대비 큼지막하게 설치돼 2열 탑승객의 개방감까지 고려한 점은 국내 소비자들 입맛에 잘 맞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국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1열 시트 통풍 기능도 설치돼 장시간 주행 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그간 푸조 차량에는 1열 통풍시트가 탑재되지 않아 약간의 불편함이 있었는데, 신형 3008 HEV에서는 보다 쾌적한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운전석 메모리 시트 기능도 탑재돼 지인이 대신 운전하거나 대리운전, 발레 파킹을 맡겼을 때도 운전자가 시트를 다시 조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3008 HEV의 주행 느낌은 정숙성이 뛰어나면서도 부드러운 가감속, 고속에서도 안정감이 뛰어나다. 특히 고속도로에서 100㎞/h 수준의 속도로 주행할 때도 실내로 유입되는 노면 소음이나 풍절음은 귀 기울여 듣지 않는다면 불편함이 없는 수준으로 정숙하다. 풍절음이 적은 이유는 완만한 경사의 프런트 글라스 덕으로 보인다.
주행모드는 스포츠·노말(컴포트)·에코 3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에코는 출력을 억제하는 게 느껴질 정도로 가속페달을 밟았을 때 가속력이 약간 더딘 느낌이다. 스포츠 모드에서는 엔진음부터 더 날카로워지고 가속페달을 깊게 밟으면 보다 빠른 응답성을 보여준다. 노말 모드는 이 중간 정도인데, 스포츠 모드를 체험한 후 노말 모드에서는 가속이 약간 더딘 것처럼 느껴졌다.
고속도로에서 90∼100㎞/h 수준에서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ACC) 기능을 사용하거나 항속주행을 할 때는 노말·에코 모드도 충분하며, 추월을 위해 가속이 필요할 때 스포츠 모드를 사용하면 될 것 같다.
연비는 정부 공인 기준 복합 도심 14.7㎞/ℓ, 고속 14.6㎞/ℓ로 큰 차이가 없다. 약 106㎞ 시승 간 연비는 12㎞/ℓ 수준을 기록했고, 가평에서 잠실까지 편도 구간에서는 13.8㎞/ℓ로 집계됐다. 산길 주행을 하지 않는 경우 연비는 공인 연비 수준을 충분히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