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는 리스크 안고 하는 것… 국민청원 이해 불가” 비판 쇄도
배터리 분사, 지난해 12월 첫 거론… 세 차례 공시로 입장 전달

LG화학이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진다. LG화학 배터리 연구원들의 모습. / LG화학
LG화학이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사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LG화학 배터리 연구원들의 모습. / LG화학

시사위크=제갈민 기자  LG화학이 전기자동차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일부 개인투자자들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LG화학의 이러한 소식에 한 개인투자자는 청와대에 ‘LG화학 물적 분할로 인한 개인투자자 피해를 막아달라’는 제목의 국민청원까지 올렸다.

LG화학은 최근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테마주’로 떠올랐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LG화학은 올해 1~7월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4분의 1(25.1%) 정도를 차지해 시장 1위를 달리고 있다.

전 세계가 지속가능한 친환경 개발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기업들도 여기에 발맞춰 전기차 사업을 확대하면서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꽉 쥐고 있는 LG화학의 기업 가치도 덩달아 오르는 모습이다.

현재 LG화학의 기업가치는 시가총액 기준 코스피 5위에 달한다. 지난 5년간 LG화학 주가는 20~40만원 사이를 오르락내리락 했으나, 지난 3월 이후 지속적인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면서 지난 8월 27일에는 역대 최고가 78만5,000원을 기록했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현재는 66만원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LG화학은 17일 긴급 이사회를 열고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문의 분사를 결정했다. LG화학은 전지사업부를 회사의 100% 자회사로 두는 물적분할 방식으로 분사한다는 방침이다. LG화학의 이러한 결정은 시장에서 기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LG화학이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사한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일부 소액 개인투자자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글을 올려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 청와대 국민청원 갈무리
LG화학이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사한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일부 소액 개인투자자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글을 올려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 청와대 국민청원 갈무리

그러나 일부 소액 개인투자자들은 이번 소식에 반발하고 나섰다. 본인들은 LG화학의 석유화학 부문이 아닌 전기차 배터리 부문에 투자를 했다는 것이다.

한 투자자는 “정부에서 뉴딜정책 관련해 전기차 수혜주로 LG화학을 거론했고 국민들은 그것을 믿고 주식을 샀는데,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사하면 2차전지가 아닌 화학주에 투자한 꼴이 된다”며 “이로 인한 개인투자자들의 손해는 어디에서도 보상 받을 수 없게 됐다”고 토로했다.

이 같은 내용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올라왔다. 하지만 동조하는 여론보다는 비판이 거세게 몰아치고 있는 상황이다.

한 네티즌은 “기업의 특정 분야가 성장해 규모가 일정 수준이상 커지면 분사하는 것이 순리”라며 “투자는 리스크 안고 하는 것인데, 기업의 결정으로 손해를 보게 됐다고 국민청원을 올려 분사를 막아달라고 억지를 쓰는 행태는 이해할 수 없다”고 질타했다.

이 외에도 “이런 것도 청원이 올라오네” “이 청원은 투기꾼들만의 생각” “손해 보면 나라 탓, 수익 보면 실력 탓이냐” 등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LG화학의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문 분사는 지난해 12월부터 거론됐다. LG화학 측도 당시 전기차 배터리 독립 법인 추진 보도와 관련해 “당사는 전지 사업의 경쟁력 강화와 사업가치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이나,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다”는 내용을 공시했다. 지난 1월과 7월에도 동일한 내용의 공시를 두 차례 더 올린 바 있다.

즉,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문 분사 이슈는 이전부터 거론돼 왔으며, 이를 확인하지 않은 것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얘기다.

한편, LG화학의 이번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문 분사는 공시 이후 주주총회를 열어 찬반투표를 거쳐야 한다. 회사 분할은 특별결의사항이기 때문에 참석 주주의 3분의 2이상, 총 발행 주식수의 3분의 1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문 분사를 성공적으로 끝마치려면 시장과 적극 소통하고 상장 이후 비전을 공유하는 등 주주 설득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