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스가, 약식회담 형태로 만날 수 있을까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5월 21일 워싱턴D.C.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한다. 사진은 한미정상회담과 유엔총회 참석을 마친 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2019년 9월 25일(현지시간) 뉴욕 JKF 국제공항에서 공군 1호기 탑승 전 환송 인사들을 향해 손 흔들어 인사하는 모습.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1일 영국 콘월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사진은 지난 2019년 9월 25일(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과 유엔총회 참석을 마친 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뉴욕 JKF 국제공항에서 공군 1호기 탑승 전 환송 인사들을 향해 손 흔들어 인사하는 모습.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영국 콘월에서 개최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초청받아 참석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첫 대면외교로 한미정상회담을 성공리에 마친 문 대통령이 이번에는 G7 정상회의에서 다자 정상외교에 나선다. 문 대통령은 G7 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코로나19 위기 극복 등 전세계적 현안을 논의하며 한국의 위상을 높일 계획이다.

◇ 한국의 높아진 위상 재확인

문 대통령은 11~13일(현지시간) G7 정상회의 참석 계기로 영국, 호주, 유럽연합(EU) 정상과 양자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샤를 미셸 EU 상임의장과 각각 만난다. 

이번 G7 회의는 코로나19 여파로 2년 만에 열린다. 지난해 정상회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주재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인해 사상 최초로 취소됐다. 올해 회의는 코로나19 이후 주요국 정상들이 직접 대면하는 것으로 한국은 호주,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함께 게스트로 참석하게 됐다. 

사실 한국이 G7 회의에 초청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8년 당시 의장국이었던 일본의 초청으로 호주와 함께 옵저버로 G8(당시에는 러시아 포함)에 참석한 바 있다. 다만 이번에는 한국의 외교장관이 정상회의에 앞서 열린 G7 외교장관 회담에 참석했다는 점, 게스트로 정식 초청받았다는 점 등의 이유로 2008년과 격이 다르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년도 의장국인 미국에 이어 이번 의장국인 영국까지 한국을 초청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번 G7 회의에서 영국, 미국 등 주요국은 ‘열린 사회’의 가치를 내걸고 민주주의 국가 중심의 질서를 공고히 할 방침이다. 또 코로나 백신 공급과 기후환경 변화 대응방안 등 세계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G7의 위상은 1975년 첫 정상회의 이후에 비해 약화됐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에는 G20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에 G7은 자신들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위 경제국으로 평가받는 한국이나, 세계 2위 인구 대국 인도, 자원과 정보 분야 강국인 호주까지 초청했다. 이는 나아가 G7을 ‘민주주의 10개국’(D10)으로 확대시켜 대(對) 중국 견제 전선을 구축하려는 포석으로도 볼 수 있다. 

또한 G7 회의에 2년 연속 초청받았다는 점은 그만큼 한국의 위상이 강화됐다는 의미다. 문 대통령은 이번 G7 회의를 계기로 글로벌 현안에서 한국의 입지를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의 다자 외교는 지난 2019년 12월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 이후 18개월 만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중국 청두 샹그릴라 호텔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에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마주앉아 한일 현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까. 사진은 문 대통령이 지난 2019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전 악수를 나누는 모습. /뉴시스

◇ 문재인 대통령, 스가 총리와 첫 대면회담 가능할까

아울러 이번 G7 회의에서는 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마주앉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일정 공간 안에서 열리는 G7 회의의 특성상 ‘풀 어사이드 미팅’(pull aside meeting·약식회담)의 가능성도 열려 있기 때문이다. 

풀 어사이드 미팅의 경우 사전에 의제를 조율하는 경우도 있지만, 즉석에서 환담이 마련되기도 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2019년 11월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도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와 풀 어사이드 미팅을 갖고 한일 현안을 대화로 해결하자는 원칙을 재확인한 바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0일 G7에서의 한미일, 혹은 한일정상회담 성사 여부는 밝히지 않았지만 “대통령 출국 전까지 다자회담 현장에서도 양자회담 또는 3자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노력은 지속될 것”이라며 “모든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밝혔다. 

청와대의 이같은 입장은 문 대통령의 임기가 얼마 안 남은 상황에서 이번 G7 회의가 한일관계 복원의 물꼬를 트기 위한 마지막 기회라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스가 총리는 “과거사 문제 해법을 한국이 먼저 가져와야 한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어 만남 성사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한미일 정상이 만난다면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의 공유, 역내 코로나19 대응, 백신 협력, 도쿄올림픽, 중국 견제를 위한 한미일 공조 등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일 정상이 만난다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를 비롯해 강제징용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 배상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