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전문가들은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사진은 한국 군 최초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탑재된 로켓이 2일 새벽 03:19(한국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발사되고 있는 모습. / 스페이스X·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전문가들은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사진은 한국 군 최초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탑재된 로켓이 2일 새벽 03:19(한국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발사되고 있는 모습. / 스페이스X·뉴시스

시사위크=조윤찬 기자  정부와 관련 전문가들이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6G 서비스를 위해선 저궤도 위성통신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위성통신망은 비용 대비 편익이 좋지 않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안보적 역할을 결합해 민군 겸용 위성통신망으로 추진하는 방법이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 저궤도 위성, 군에서 활용도 뛰어나

2일 국방부는 군정찰위성 1호기를 발사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당 위성은 고도 400~600㎞에서 지구를 도는 저궤도 위성이다. 국방부에 따르면 대한 위성은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와 같은 속도로 이동해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저궤도 위성은 빠른 속도로 지구를 돌아 한국 상공을 10여분 정도 만에 지나간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위성은 고도에 따라 △저궤도(250~2,000km) △중궤도(2,000~3만6,000km) △정지궤도(3만6,000km) 등으로 나눌 수 있다.

4일 변강일 유니스트(울산과학기술원) 교수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저궤도 위성의 장점은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추적이 어렵다는 것이다. 또 낮은 궤도에 있어 더욱 정밀하게 들여다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저궤도 위성은 정지궤도와 달리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전파 방해가 어렵다. 안보적으로 큰 발전이라는 설명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안보적 측면에서 저궤도 위성 활용도가 뛰어나다는 평가가 나온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스페이스X의 저궤도 위성망인 스타링크가 활용되면서 군에서의 필요성은 널리 인정받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통신주권’과 안보적 측면을 강조하면서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이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4,800억원 규모인 이 사업은 저궤도 위성통신 시범망을 구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저궤도 통신위성은 B2B(기업 대상) 사업에선 UAM(도심항공교통)과 선박, B2C(소비자 대상)로는 위성통신 스마트폰 등에 사용된다.

◇ 과기정통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국방부와 협의해 진행”

최근 학계에서 국내 통신 서비스만을 위해 저궤도 위성을 쏘아 올리는 것은 필요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해당 사업은 과거 예타에서도 탈락한 바 있다.

고영채 고려대학교 교수는 지난달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위성전파·위성통신 기술 콘퍼런스’에서 “국내는 수많은 위성 통신 시스템을 구축해 전송 속도를 높여 얻는 이익이 크지 않다”며 “주요한 정보를 다루거나 군이 사용할 때에 저궤도 위성이 위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궤도 위성은 국내 상공을 10분 만에 지나가기 때문에 통신이 지속되려면 수백 개 이상의 위성을 쏘아 올려야 한다. 또 국내 지상망이 잘 갖춰져 있어 이렇게 망을 구축하고 얻는 효과는 크지 않다는 평가들도 존재한다.

그래서 통신용도만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 대신 민군 겸용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민군 겸용에 대해 변강일 유니스트 교수는 “한국 실정에서 봤을 때 민군 겸용이 어느 정도 현실성이 있다고 본다”며 “민군 겸용으로 하게 되면 페이로드(임무를 수행하는 위성 탑재체)가 많아지면서 위성체의 크기가 커진다. 이렇게 되면 좀 더 높은 고도의 저궤도에서 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봤듯이 지상망이 붕괴되는 상황에서 저궤도 위성통신이 중요한 통신 수단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며 “UAM 등 신사업들이 활성화될 예정이다. 방위사업청에서도 민군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민군 협력이 잘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민군 겸용이 필수이지 않느냐’라는 질문에 그는 “예타 진행하는 과정에서 항상 여러 부처 의견을 듣고 있다”며 “앞으로 (저궤도 위성통신을) 이용할 만한 부처 의견도 들어보고 국방부와도 같이 협력해서 진행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한편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국은 위성 발사 경험이 적어 관련 산업에 ‘우주 헤리티지’(우주에서 부품이 문제없이 작동된 이력)가 부족하다. 민간 위성 모니터링 플랫폼 ‘라이브 스타링크 세틀라이트 엔 커버리지 맵’에 따르면 4일 기준 스타링크 위성은 4,275개가 서비스되고 있다. 위성 발사 경험이 차이가 심해 검증된 외국산 부품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