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후보가 1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임기 단축 위한 국민대연합 구성 제안'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 뉴시스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후보가 1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임기 단축 위한 국민대연합 구성 제안'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전두성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당권주자인 김두관 후보는 12일 정권 탈환을 위한 민주당의 ‘4대 혁신과제’의 일환으로 ‘개혁의 딸(개딸‧이재명 후보 강성 지지층)’과 결별하고 당내 최대 친명계(친이재명계) 조직으로 불리는 더민주전국혁신회의(혁신회의)를 해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권리당원의 교육‧연수 실시, 대의원제도 강화 등을 제안하기도 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조기종식과 개헌, 정권교체와 집권을 주도해야 한다”며 “그런데 민주당의 집권 가도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다.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핵심 전략은 내부 단결과 외부 연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민주당’이 내부 단결과 외연 확장과는 정반대의 길로 가고 있다. 민주당 내부에 다양성과 민주성, 역동성이 사라지고 외연 확대에도 실패하고 있다”며 “민주당이 위기다. ‘찍히면 죽는다’는 검은 그림자가 일상처럼 당을 지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후보는 “서로 다름과 차이를 인정하고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합의하고 실천하는 다양성과 민주성, 역동성이 사라졌다”며 “총재 시절보다 더한 ‘이재명의 민주당’이 완성돼 가고 있다. 소수 강경 ‘개혁의 딸’의 목소리가 당을 장악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혁신회의가 이 후보의 홍위병이 돼 위세를 부리며 줄을 세우는 비정상적인 상황을 만들어 가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재명 민주당’에는 더 이상 김대중‧노무현은 없다. 김대중‧노무현 정신은 모욕당하고 내쫓겼다”고 주장했다.

또 “‘이재명 민주당’에서 미래세대에 대한 희망도 사라졌다. 이미 젊은 층이 등을 돌린 지 오래됐다”며 “총선에서 압도적 승리를 안겨준 민심도 싸늘하다. 무능한 정권의 헛발질에도 당 지지율은 후퇴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1인 일극’의 ‘이재명 민주당’은 정권 탈환과 제4기 민주 정부 출범을 위해 극복해야 할 가장 큰 장애물이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는 “민주당의 4대 혁신과제를 제안한다”며 △개딸과 결별‧혁신회의 해산 △권리당원 교육‧연수 실시 △민주연구원 세종시 이전 △ 중앙당 권한을 대폭 축소 및 시‧도당 중심으로 전환 △대의원제도 다시 강화 등을 언급했다.

김 후보는 “민주당은 ‘이재명의 민주당’도, ‘김두관의 민주당’도 아니다”라며 “당원의 민주당이고 국민의 민주당이다. 김두관을 위해서가 아니라 민주당을 위해서, 정권교체를 위해 관심을 가져 달라”고 호소했다.

또한 김 후보는 “윤석열 정부 조기 종식과 ‘국민대연합’을 위한 대한민국 미래 공동가치와 공동정책인 ‘7대 공동강령’을 제안한다”며 △윤석열 대통령 임기 단축과 개헌을 통한 2026년 지선‧대선 동시 실시 △남북대화 실현 및 항구적 평화 체제 구축 △연방제 수준의 광역연합 지방분권 국가로 전환 △‘사회 대타협’ 추진 △‘기본사회’ 구현 △창의·인적자원 개발 위한 국가 교육 수립 △기후‧환경위기 대응과 글로벌 선도 국가 실현 등을 말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