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조윤찬 기자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보이스피싱 탐지 AI(인공지능) 모델 성능을 고도화한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위조인스 대회의실에서 ‘보이스피싱 대응 R&D 민·관 협의체’ 발족식을 개최했다.
해당 협의체는 정부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의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차단체계 구축 과제를 본격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협의체는 반기별 운영하고, 기관별 의견을 수렴해 새로운 과제를 지속 발굴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IITP를 비롯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경찰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 부처와 공공기관이 참여하고, 통신3사(SKT, KT, LGU+), 삼성전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주요 민간·R&D 기관이 참여했다.
협의체는 공공과 민간이 보유한 보이스피싱 관련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하고, 연계·분석해 AI 탐지 모델의 성능을 고도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발족식에서는 △비식별(가명) 데이터 공유 플랫폼의 민·관 활용과 확산 방안 △현장 수요를 반영한 R&D 개발 △기관별 대응 현황 공유 및 R&D 연계·적용 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도규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보이스피싱은 단순한 금전적 피해를 넘어 국민의 신뢰와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라며 “AI 기술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조기 탐지·예측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기술을 이용한 범죄에는 더 앞선 기술로 맞서야 한다는 책임감을 가지고, R&D 결과가 국민의 체감 안전으로 이어지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6,000억원을 넘어서며, 지난해 상반기 3,243억원 대비 대폭 증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