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상승 등으로 아파트 전세 거래 증가… ‘전세사기‘ 이슈로 빌라 이미지 최악

올해 1분기 서울 빌라 전세 거래 비중이 1년 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뉴시스
올해 1분기 서울 빌라 전세 거래 비중이 1년 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뉴시스

시사위크=김필주 기자  올해 1분기 서울 빌라(다세대‧연립) 전‧월세 거래 중 전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1년 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서울 아파트의 경우 전세 비중은 소폭 감소했으나 지난해 1분기와 비슷한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빌라의 경우 전세사기 여파로 전세거래가 급감한 반면 아파트는 월세 상승, 전세자금대출 금리 인하 등으로 다시 전세 수요가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계약일 기준 올해 1분기(1~3월) 서울 빌라 전월세 거래량은 총 2만8,765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전세 거래량은 총 거래 중 53.5%에 해당하는 1만5,396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1분기 60.7%에 비해 7.2%p(퍼센트포인트) 줄어든 규모다.

서울 빌라 전세 거래량 1년 새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분기 2만2,254건이었던 빌라 전세 거래량은 올 1분기 1만5,396건까지 감소하면서 1년 동안 30.8% 정도 줄었다. 

반면 동시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중 전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1년 전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작년 1분기 58.7%였던 전세 비중은 올해 1분기 57.7%를 기록하면서 0.01%p 떨어졌다.

또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지난해 1분기 3만8,672건에서 올해 1분기 3만8,678건으로 오히려 늘었다.

이처럼 서울 부동산 거래 시장에서 빌라와 아파트간 전세 거래 분위기가 확연히 차이를 보이는 것은 전세사기 이슈, 수요 증가에 따른 월세 상승 등의 요인이 복합 작용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집값과 전세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하자 서울 강서구 화곡동, 인천 미추홀구 등 수도권 중심을 대규모 전세사기가 발생했다.

이에 정부는 작년 9월 1일 전세사기 피해 대책을 내놓았지만 전세사기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았다. 이후 정부는 여러차례 추가 대책을 발표하면서 전세사기 피해 수습에 집중했으나 일부 피해자들 사이에선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결국 지난 2월말부터 이달 중순까지 피해자 3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전세사기 이슈는 다시 한 번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이 과정에서 전세사기 대부분이 빌라에서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고 시장 내에서 빌라의 이미지는 악화됐다.

서울 월간 아파트 월세가격지수 현황 / KB부동산
서울 월간 아파트 월세가격지수 현황 / KB부동산

한편 KB부동산의 월간 아파트 월세가격지수에 따르면 작년 1월 100을 기록했던 서울 아파트의 월세가격지수는 점점 오르기 시작해 같은 해 9월에는 104.153까지 올랐고 올해 1월에는 105.591까지 치솟았다. 이어 2월에는 105.886을 기록하면서 소강상태를 유지하다 3월 106.317로 집계되면서 다시 상승세로 전환됐다. 

월세가격지수는 특정시기 가격을 100으로 정한 뒤 추후 얼마나 월세가격이 올랐는지 나타내는 지수다. 지난해 1월 100에서 올해 3월 106.317을 기록했다면 이는 작년 1월에 비해 월세가격이 6.317% 올랐다는 것을 뜻한다.

전세대출 금리는 최근 들어 떨어지는 추세다. HF(한국주택금융공사)에 의하면 올해 1월 4.18~6.80%였던 전세대출 금리는 2월 4.46~6.33%, 3월 3.61~6.18%로 점점 낮아지고 있다.

한 시중은행 소속 부동산 전문가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최근 부동산 시장 내 최대 이슈가 전세사기로 떠오른 만큼 앞으로 빌라 전세거래량‧비중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서울 강서구 등 일부 지역은 빌라 전세를 찾는 세입자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반면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는 △월세 상승 △빌라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위험성 △대출금리 인하 △봄 이사철 시작 등으로 차츰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만 아파트라도 역전세난에 따른 보증금 분쟁이 향후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세입자들이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