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가 23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국민의힘 당기를 흔들고 있다.  /뉴시스
한동훈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가 23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국민의힘 당기를 흔들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고양=손지연 기자  ‘어대한(어차피 당 대표는 한동훈)’이라는 대세론으로 선거전 내내 강세를 보인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국민의힘 신임 당 대표로 선출됐다. 하지만 전당대회 내내 ‘자해’, ‘자폭’ 전당대회라고 불리며 당이 분열되는 모습을 거듭하면서 신임 당 대표가 이를 수습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국민의힘은 23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제4차 전당대회를 열고 차기 지도부를 선출했다. 당권주자들간 네거티브 경쟁이 격화되는 ‘이전투구’ 속에서 승리를 거머쥔 것은 총선 참패에 책임을 지고 비상대책위원장에서 물러났지만 ‘어대한’이라는 부름에 등판한 한 대표였다. 

한 대표는 지난 19일부터 22일까지 실시한 모바일‧ARS 투표에서 총 32만 702명의 선택을 받았다. ‘패스트트랙 공소취소 부탁 폭로’와 투표율 저조 등으로 마지막까지 결선 투표 가능성이 제기됐던 것과는 달리 62.84%라는 과반을 훌쩍 넘긴 득표율로 당선됐다. 이번 선거에는 전체 선거인단은 84만1,614명 중 40만8,272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한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당선인들을 향한 인사 후 가장 먼저 전당대회 선거전에서 불거진 ‘분열’의 모습에 대해 사과했다. 앞서 국민의힘 전당대회 국면에서 당권주자 간 의혹을 두고 다투며 당의 분열이 극대화된 바 있다. 이에 당원들의 투표율이 직전 전당대회보다 저조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는 “때로는 과열되기도 했고 갈등도 있었다”며 “이 모든 과정에서 당원동지 여러분과 국민께서 화나고 걱정하는 힘든 한 달을 보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그는 “송구하다”며 사과를 하기도 했다. 

그는 당권주자들과 각을 세우면서 불거진 당내 분열을 봉합해야 한다는 인식을 보였다. 한 대표는 200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이 대선 후보 경선에서 패했을 당시 “모든 일을 잊자. 하루아침에 잊을 수 없다면 며칠 걸려서 잊자”고 언급한 것을 거론하며 이를 “경선과정의 균열을 메우고 상처를 봉합하는 한마디”라고 평했다. 이어 “(이 한마디를 통해) 보수 정권이 연속으로 집권했다”며 “저도 시간 흐름에만 맡기지 않고 모든 분과 함께 가겠다”고 강조했다. 

◇ 한동훈, 당 대표 첫 과제 ‘당정관계’

앞서 당권 경쟁에서 불거진 ‘김건희 여사 문자 읽씹’ 사건으로 한 대표와 윤석열 대통령의 관계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평가가 정치권내 중론이다. 가장 유력한 당권주자가 현직 대통령과 ‘당정갈등’을 벌일 가능성에 타 후보들은 맹공을 펼치기도 했다. 

‘당정갈등’ 의혹으로 당내 분열이 가속된 만큼 이를 봉합할 열쇠는 한 신임 대표와 윤 대통령 간의 관계 회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날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사안에 따라서 선택과 차별성을 같이 경영할 수 있을 만큼의 노련한 정치력이 필요하다”며 “대통령실과의 충돌로 가버리면 한 대표는 당에서 설 땅이 없다”고 말했다.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도 이날 통화에서 “단순히 ‘내가 당 대표가 됐으니 따라와라’는 일방적인 리더십으로는 당을 이끌 순 없다”며 “대통령과 빨리 만나서 여러 사안에 대해 합의를 보고 가이드라인을 공유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장 소장은 이런 만남이 성사되지 않으면 “파국으로 갈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날 기자들을 만난 한 대표가 윤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 “당연히 찾아가 봬야 한다”며 “대통령을 찾아뵙고 자주 소통할 예정”이라고 말한 것도 이러한 맥락으로 풀이된다. 

다만 전당대회 이후 발간될 예정인 ‘총선백서’는 한 대표에게 남겨진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총선백서에 대해 “총선 평가를 여러분이 하셨고 이번 당 대표 선거를 통해 민심과 당심이 (총선 평가를) 했다”며 “이 당을 위해 도움되는 총선백서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했다. 친윤계 의원들이 총선백서를 그간 한 대표를 향한 공세 수단으로 사용해 왔기 때문에 이를 두고 당내 여론이 충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