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뉴시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손지연 기자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더불어민주당이 여당에 요구한 3대 제안 중 ‘대통령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 중단’에 대해 수용 불가하다고 밝혔다. 또 그간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 행사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김 의장은 8일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국민들을 위해서 옳은 법안인지 판단해 보고 그렇지 않다는 결론이 나면 거부권 행사를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또 윤 대통령이 행사한 재의요구권에 대해선 문제가 없다고 보냐는 질문엔 “제 입장에서는 그렇다”고 답변했다. 

앞서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전날(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영수회담 △여야정 협의체 구축 △대통령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 중단 등 3대 제안을 한 바 있다. 

여야정 협의체 구축에 대해선 여야 모두 가능성을 높게 보는 상황이다. 하지만 김 의장은 특히 ‘재의요구권 행사’에 대해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그는 “민주당이 굉장히 특정 정파적인 이념이 담긴, 예를 들면 불법파업을 조장하는 그런 법들을 일방적으로 폭주하면서 표결처리에 나선다면 대통령 거부권 행사가 중단될 리는 만무하다”고 했다. 이어 “국민들께 중장기적으로 폐를 끼치는 법안들이 통과가 된다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루스벨트 대통령도 거부권 행사가 660회인가 그렇게 행사된 걸로 알고 있다”며 “국민들을 위해서 이게 옳은 법안인지를 판단해 보고 그렇지 않다는 결론이 나면 거부권 행사를 하는 게 저는 맞다고 본다”고 밝혔다.

영수회담 가능성에 대해선 “영수회담 이전에 (민주당) 전당대회가 끝나면 여야 당 대표 회담이 선행돼야 된다”며 “정부 측의 협조가 필요하다면 그때 여야와 대통령이 함께하는 회담도 한번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