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안철수 인수위원장,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등 참석자들이 18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원회 앞에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현판식을 하고 있다. /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안철수 인수위원장,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등 참석자들이 18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원회 앞에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현판식을 하고 있다. /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시사위크=이선민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주요 인선이 완료된 가운데, 통합보다는 특정 학교, 성별, 세대에 편중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공개된 24명의 인수위에는 교수·관료·기업인 출신의 전문가가 대거 기용됐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아마추어 정부가 아니다, 실수하지 않고 오로지 철저한 프로로 임하겠다는 각오”라고 밝혔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인사가 포함된 것에 대해서는 “이른바 광폭 통합 정부”라고 답했다.

이번 인수위는 관련 법에 따라 인수위원장 1명, 부위원장 1명, 인수위원 24명으로 구성됐다. 인수위원장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부위원장에는 권영세 의원이 임명됐고, 7개의 분과는 △기획조정 △외교·안보 △정무·사법·행정 △경제1(경제정책·거시경제·금융) △경제2(산업·일자리) △과학·기술·교육 △사회·복지·문화로 조직됐다.

과거 윤석열 당선인이 “국민을 제대로 모시려면 각 분야 최고 경륜과 실력 있는 사람으로 모셔야 한다”며 “국민통합은 실력 있는 사람을 뽑아 국민들을 제대로 모시고 지역 발전 기회를 공정하게 부여하는 게 우선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 ‘서오남’ 집중과 이명박‧박근혜 정부 인사 복귀

윤 당선인을 포함한 27명 중 서울대를 졸업한 인원이 16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려대와 연세대 출신이 각각 2명이다. SKY 출신이 20명을 차지한 셈이다. 직업별로도 교수 출신이 12명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출생 지역은 서울이 12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부산, 경남 지역이 각 2명이었다. 대구, 강원, 경기, 인천, 전북은 각각 1명에 그쳤으며, 윤 후보의 출신지인 충북에서도 1명 밖에 발탁되지 않았다. ‘통합’에 방점을 찍었다고는 하지만 호남 출신 인사가 1명 뿐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반면 인수위는 이명박 정부 인사를 전면에 배치했고 박근혜 정부 인사도 합류했다. 김성한 전 차관을 외교‧안보 분과 간사로 세웠고, 이명박정부 대북정책을 담당했던 김태효 전 대통령 대외전략기획관을 같은 분과에 배치했다. 이 외에도 MB 정부에서 활동했던 경력을 가진 인사 9명이 이름을 올렸고, 과학기술교육분과 김창경 한양대 창의융합교육원 교수도 교육과학기술부 2차관을 지낸 바 있다.

박근혜 정부 인사는 경제분과로 배치됐다. 기획조정분과 간사 추경호 의원은 당시 기재부 1차관을 지냈고, 경제1분과 간사 최상목 전 차관은 박근혜 정부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으로 재직한 바 있다. 사회복지문화분과 안상훈 교수는 박근혜 정부 인수위 위원을 지냈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의 안보, 이명박 정부의 경제가 아니라 반대로 배치한 것이 의문이다”면서도 “실력주의를 밀고나가는 만큼 결과로 보여주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18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에서 최상목 경제1분과 간사, 신성환 위원, 김소영 위원, 신용현 대변인과 함께 오찬 겸 업무회의를 하고 있다./인수위 제공 사진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18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에서 최상목 경제1분과 간사, 신성환 위원, 김소영 위원, 신용현 대변인과 함께 오찬 겸 업무회의를 하고 있다./인수위 제공 사진

◇ 다양성 지적 있지만 ‘실력주의’ 우선

아울러 성비와 연령 불균형은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여성은 대변인을 제외하면 3명 밖에 되지 않는다. 여성은 인수위 사회복지문화 분과 간사를 맡은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과 정무사법행정 분과의 박순애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사회복지문화 분과의 백경란 성균관대 의대 교수가 전부다.

연령은 50대가 주축으로 과학기술교육 분과의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가 45세로 최연소다. 윤 당선인의 승리에는 ‘이대남(20대 남성)’이 한 몫했다는 평가가 주된 가운데 20‧30의 목소리가 빠진 것에 대한 아쉬운 목소리가 나오고있지만, 김 대변인은 “국정 전반에 걸친 게 청년 문제로 따로 있는 게 아니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청년이 인수위에 참여하고 대통령 비서실에서 얼마나 일하고 있는지 말할 기회가 있을 것 ”이라고 부연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총 27명의 인수위 가운데 여성은 4명, 심지어 2030세대는 단 한 명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오남(서울대 출신 50대 남성)’이라는 별칭이 붙은 것과 관련해 “특정 연령대와 특정 학벌, 특정 지역 출신을 고집하는 인선은 오답이다. 지금의 구성은 국민과 맞닿아 있다고 보기에는 다양성이 없어 참으로 안타깝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SNS 등지에서 “각계 유능하고 경륜 있는 인재 발탁하다보면 확률적으로라도 서울대 출신이 많은 것 뿐” “나눠먹기 안하고 능력대로 뽑으면 서울대가 많은게 당연한 것 아니냐” “능력대로 뽑으면 당연히 고학벌+중장년층이 뽑히는 게 정상“이라고 옹호하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다.

반면 야권 내에서도 “다양성이 없다”며 “지금의 인수위 인적 구성은 바람직하지 않은 면이 있다”는 목소리는 나오고 있다. 

이같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윤 당선인이 ‘실력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만큼 향후 ‘윤석열 정부’의 인선도 비슷한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