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한지아(왼쪽) 수석대변인이 지난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열린 4선 의원과의 오찬회동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한지아(왼쪽) 수석대변인이 지난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열린 4선 의원과의 오찬회동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손지연 기자  광복절 특별 복권 후보자에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포함되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를 비롯해 4선 중진들까지 나서 복권이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이런 반대가 ‘윤-한 갈등’이라는 시선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을 꺼리고 있다. 이에 박상수 국민의힘 대변인이 13일 한 대표의 입장을 대신 전했다. 

박 대변인은 이날 MBC 라디오 ‘시선집중’에서 “가장 큰 이유는 (김 전 지사가) 부정선거를 한 부정선거 사범이지 않냐”며 “최소한의 반성은 있어야 되는데 반성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김 전 지사가 징역형을 선고받은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에 대해 반성의 태도가 보이지 않는다며 국민들이 이를 납득할 수 없기 때문에 복권에 반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김 전 지사가)지난번에 사면이 돼서 나올 때도 ‘원치 않는 선물이었다’고 얘기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반인들은 사면·복권을 받으려면 검찰에 신청해 법무부 장관과 사면심사위원에게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며 “그 서류에는 자신이 저지른 죄에 대한 태도, 반성을 했는지 여부를 기재할 수밖에 없게 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평범한 일반 국민들에게 요구되는 사안이 정치인에게는 반성도 없이 사면이 되고 복권이 된다면 과연 국민들이 그것을 납득할 수 있겠느냐는 일반론적인 문제 제기였다”고 주장했다. 

다만 ‘이중잣대’라는 지적에는 선을 그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반성 의사를 밝히지 않았음에도 사면된 바 있다. 한 대표는 총선 시기 박 전 대통령을 예방해 예우를 갖춰 만났지만 김 전 지사의 복권에 반대해 이중적이지 않느냐는 지적이다. 

이에 박 대변인은 “(박 전 대통령의 경우) 사면과 복권이 이루어진 다음에 가서 만난 것”이라며 “만났을 때 태도나 자세에 대해서가 아니라 사면이나 복권이라는 제도 자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