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손지연 기자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광복절 복권을 두고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당 대표의 갈등이 수면 위로 부상했다. 한 대표가 김 전 지사의 복권에 반대하고 나서자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을 침해하냐며 비판하고 나섰다. 친한(친한동훈)계 김종혁 최고위원은 당원들 항의가 거센데 여당 대표나 정치인들이 침묵해야 된다는 지적은 옳지 않다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12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대통령이 내린 결정이니까 여당에서는 아무런 말도 하지 말라는 얘기는 긍정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당원 게시판이 수천 명의 당원들의 항의로 도배가 되고 있는데 여당 대표나 정치인들은 입을 다 다물고 있어야 된다는 것은 합당한 지적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대법원 유죄 판결을 받은 김 전 지사가 광복절 ‘복권’ 대상에 포함됐다고 알려지자 논란이 불거졌다. 한동훈 국민의힘 당 대표는 법무부 장관 시절부터 이에 반대 입장을 전달해 왔다며 복권에 반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통령실 한 관계자는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고 선을 그었고, 권성동 의원은 “대통령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했다.
김 최고위원은 “대통령의 권한은 존중돼야 된다”며 “이 사태가 당정 갈등으로 또 번지는 것들은 원치 않기에 한 대표도 본인이 공식적으로, 직접적으로 언급한다든가 하는 것은 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정 갈등’ 자체를 문제 삼는 것은 옳지 않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우리는 군대가 아니다”라며 “과거에 민주당 내에서도 사면권을 둘러싸고 논란이 있었는데 이런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도 할 수 없냐”고 꼬집었다.
이어 “언제든지 당정 갈등은 있을 수밖에 없고 또 있어야 된다”며 “우리가 유일 체계의 당이나 어버이 당도 아니고 당정 갈등은 항상 존재하는데 그 갈등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서 모양새가 달라지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자꾸만 갈등이 없는 걸로 몰고 가는 것은 옳지 않다”며 “제대로 잘 타협하고 화합해서 극복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김두관 "김경수 ‘복권’, 민주당 역동성 회복 계기 될 것"
- 광복절 특사로 다시 떠오른 ‘김경수 복권’
- ‘친문’ 구심점?… 김경수 바라보는 민주당의 ‘엇갈린’ 시선
- ‘화합’ 외치지만 불안한 윤석열-한동훈의 ‘허니문’
- 진종오, ‘체육계 비리 제보센터’ 개설하는 까닭
- 광복절 앞두고 ‘역사관 논란’ 중심에 선 윤석열 대통령
- 윤석열 대통령, 이명박 전 대통령과 첫 공식 회동
- 한동훈, ‘김경수 복권’ 반대하는 까닭
- 윤석열 대통령, 광복절 특사안 재가… 김경수 복권 확정
- 민주당, ‘김경수 복권’ 환영… “큰 역할 기대”
- [김경수 복권 확정] 미묘한 ‘윤-한’ 관계 흐름
- 장동혁, 김경수 정치 복귀 수순... “판 흔들 정도는 아냐”
- 당정,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규모 공급… 추석 물가 잡기 총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