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공약이 나날이 닮아간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이 후보와 윤 보가 지난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열린 2022년 소상공인연합회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박수를 치는 모습. /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20대 대선이 40여일 정도 남았지만, '대세론'이 형성되지 않은 모양새다. 지난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당시 후보가 초반부터 대세론을 구가한 바 있다. 사진은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가 지난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열린 2022년 소상공인연합회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박수를 치는 모습. /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20대 대통령 선거가 43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확고하게 ‘대세’라고 불릴 만한 후보는 아직 없다. 통상 대선 50일 전에는 지지세가 결집되면서 대세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번에는 대세론을 일으킨 후보는 보이지 않는 혼전 양상이다. 

역대 대선 결과를 살펴보면 16대 대선의 노무현 후보를 제외하고 13~19대 대선까지 여론조사에서 1위였던 후보가 청와대에 입성했다. 19대 대선에서도 선거 50일을 앞두고 문재인 당시 후보는 ‘문재인 대세론’을 구가했고, 실제로 당선됐다. 

그러나 이번 대선은 역대 대선과는 다른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고 있으며, 현재는 윤 후보가 이 후보를 앞서고 있다. 

24일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오마이뉴스 의뢰, 16~21일 조사 실시)에 따르면 윤 후보는 42% 지지율로 36.8%를 기록한 이 후보를 5.2%p 앞섰다. 윤 후보는 직전 조사보다 지지율이 1.4%p 오르며 2주 연속 40%대를 기록했다. 반면 이 후보는 30% 중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 후보는 윤 후보의 가족리스크와 당 내홍으로 어수선하던 당시에 윤 후보를 앞섰으나, 40%대 벽을 뚫지 못하고 30%대 중반에서 박스권을 형성했다. 박스권에 갇혔다는 것은 중도층이 많이 합류하지 않았다는 의미기도 하다. 민주당은 수도권, 중도층 표심을 확실하게 얻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 결국 ‘중도층’ 공략이 핵심

이 후보는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을 받아 안지 못한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고 있다. 특히 ‘이재명의 민주당’을 내걸고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 등을 지적했지만 친문 진영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의 ‘문재인 정부 하에서 이재명 탄압’ 발언도 문 대통령 지지층 일부의 반감을 샀다. 당초 문 대통령 지지층 일부는 이 후보에 대한 비토 정서가 강했는데, 이들이 윤 후보를 찍겠다고 나서는 현상도 보이고 있다. 

윤 후보는 ‘굿 논란’ 등으로 반목한 홍준표 의원, 유승민 전 의원의 지지층을 규합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정권교체 여론이 우위인 상황이지만 윤 후보의 지지율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권교체 여론 중 일부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를 지지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단일화 목소리도 있었으나, 윤 후보의 지지율이 40%대에 재진입하면서 단일화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한 여권 관계자는 “양당 후보 모두 코어 지지층은 결집한 상황이다. 이 후보가 문 대통령의 지지율을 모두 받아 안지 못한 것은 민주당 지지층이 이 후보에게 완벽하게 마음을 주지 않은 것”이라며 “윤 후보의 지지율 상승은 안 후보와의 단일화 이슈로 인해 연성 국민의힘 지지층이 윤 후보에게로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두 후보 모두 지지층 넓히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 후보는 26일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후보와 양자 정책 토론회를 열기로 합의했다. 일각에서는 토론회를 계기로 이 후보가 김 후보와의 단일화를 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후보의 지지율이 박스권에 갇힌 상황에서 제3지대의 김 후보와의 접촉면을 넓혀 중도층을 공략하겠다는 포석이다.

윤 후보는 다자구도에서 40%를 돌파한 만큼, 안 후보와의 단일화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게 됐다. 실제 두 후보가 단일화 협상을 펼칠 경우 대세론을 형성한 후보가 협상 주도권을 잡기 때문이다. 다만 윤 후보의 지지율이 40% 중반을 넘어 대세가 될 경우, 단일화 필요성은 없어지게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