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숙제로 떠오른 카시트를 두고 카셰어링 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뉴시스
사회적 숙제로 떠오른 카시트를 두고 카셰어링 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지난 9월, 카시트가 난데없는 논란에 휩싸였다. 전좌석 안전띠 의무화 시행 및 따른 단속 예고가 예상치 못한 카시트 단속 논란으로 이어진 것이다. 6세 미만 영유아의 경우 카시트 착용이 안전띠에 해당하는데, 이로 인해 카시트 단속도 함께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거센 후폭풍을 몰고 왔다.

높지 않은 카시트 보급률을 비롯해 각종 현실적인 문제들이 제기되는 등 반발은 거셌다. 결국 경찰이 “카시트 단속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될 때까지 이를 유예하겠다”고 밝히면서 사태가 무마됐지만, 카시트 문제는 여전히 우리 사회의 숙제로 남아있다. 영유아의 안전을 고려하면 의무 장착이 필요하지만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면 단속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 카셰어링은 카시트 이용 불가… 대책 마련 고심

이러한 고민은 최근 급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카셰어링 업계에도 고민거리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친척집 방문을 위해 가족과 함께 부산을 찾은 김진석(가명·35) 씨는 대중교통과 카셰어링을 함께 이용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는 KTX로 이동하고, 부산 내에서는 카셰어링을 이용한 것이다. 장거리 운전에 따른 부담과 부산 내 이동의 불편함을 동시에 덜기 위한 선택이었다. 그런데 김씨는 예상치 못한 문제에 부딪혔다. 아이를 위한 카시트를 이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

실제 현재 카셰어링 업계를 주도하고 있는 쏘카와 그린카 모두 카시트가 장착된 차량을 대여하거나 카시트를 별도로 대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른 업체들도 대부분 상황은 같다.

이와 관련해 쏘카 측은 “부름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집 앞까지 차량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보유 중인 카시트를 장착해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김씨의 경우처럼 집이 아닌 곳에서 카셰어링을 이용할 경우 카시트를 장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또한 차량을 소유하지 않아 카시트 역시 없는 가정의 경우에도 같은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카시트 서비스 도입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한다. 차량에 항상 장착해두거나 트렁크에 비치해두기엔 부피가 상당해 다른 이용자들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령대에 따라 알맞은 카시트가 제각각인 점도 카시트 도입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다.

그렇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기본적으로 언젠가 이뤄질 단속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또한 혁신적인 자동차 이용문화에 기반을 둔 사업특성상 바람직한 교통안전문화 확산을 선도하는 역할도 요구된다.

업계 관계자는 “경찰이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될 때까지 단속을 유예하겠다고 밝힌 만큼 당장 시급한 사안은 아니지만, 어떤 식으로든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은 인지하고 있다”며 “수요 분석을 통해 카시트가 장착된 차량을 일부 운영하거나, 사전에 요청하면 카시트를 함께 대여해주는 방안 등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서는 조금 더 고민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시트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경찰관계자는 “카시트는 사고 시 유아동의 피해를 막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라며 “아이를 안고 탈 경우 오히려 아이가 에어백의 역할을 하게 되고, 안전띠는 질식 등을 불러올 수 있다. 아이들에겐 카시트가 가장 안전하다”고 강조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