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한국담배소비자협회 한 회원이 담배값인상을 반대하며 1인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있다.
[시사위크=우승준 기자] 차기 대선과 관련해 대권주자들에게 고개를 돌리는 ‘무응답층’이 증가하고 있어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실제 다수의 유력 여론조사 기관이 최근 실시한 대권주자 지지도 설문을 살펴보면, 무응답비율 상승이 눈에 띈다. 한국갤럽이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1,002명을 대상으로 ‘대권주자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무응답층은 34%를 차지했다. 이는 한국갤럽이 지난달 14일부터 16일까지 조사한 무응답층(30%)보다 4%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또 리얼미터가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5일간 조사한 대권주자 지지도에서도 무응답층은 약 22%를 기록했다. 이는 리얼미터가 지난 5월 19일부터 23일까지 조사한 무응답층(22.1%) 이후 24주 만의 최대 수치다.

◇ 원인1-‘서민증세 정책’

최근 대권주자 지지율에 ‘무응답층’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 정치권을 비롯한 여론에서는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다. 특히 현 정부의 ‘서민증세 정책’이 서민들의 정치적 회의감을 유발해 ‘무응답층’이 늘어났다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대표적인 ‘서민증세 정책’으로는 현 정부가 추진 중인 ▲주민세 ▲자동차세 ▲담뱃값 인상 등이 있다.

실제 정부는 지난달 28일 국무회의를 통해 ‘주민세’와 ‘영업용 자동차세’ 인상안이 담긴 지방세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지방세 인상에 대해 정부는 열악한 지방재정을 감안한 조치라고 설명했으나, 시민단체에서는 이번 인상의 배경이 MB정부의 재벌 감세에 있다고 수차례 지적한 바 있다. 게다가 정부는 부자감세를 외면한 채, ‘국민건강’을 앞세워 서민을 상징하는 대표 기호품인 담배에 가격을 올려 세수를 확보한다는 논란으로 구설에 오른 바 있다. 이 때문에 서민들은 정치적 회의감을 느꼈고, 이러한 회의감이 정치에 대한 무관심, 즉 ‘무응답층의 증가’로 이어졌다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시각이다.

김종민 정의당 대변인은 지난달 28일 브리핑을 통해 “MB감세인 종합부동산세 감세와 법인세율 인하 등 고스란히 지방재정의 손실로 이어지는 부자감세를 해결하지 않고, 서민에게 그 짐을 떠넘기려는 박근혜 정부”라며 “이러한 결정은 강한 국민적 비판에 직면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김 대변인의 지적은 ‘서민증세 정책’에 회의감을 느껴 무응답층이 늘어났다는 분석과 일맥상통한다.

◇ 원인2-‘종파적 이익’ 위해 난항 겪은 ‘세월호법’

정치권에 정통한 인사들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난항을 겪은 ‘세월호법’으로 인해 다수의 국민들이 등을 돌린 것으로 분석했다. 빠른 시일 내에 법을 제정해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막는 방안인 ‘세월호법’에 국민공감이 형성됐으나, 여야는 당의 이익을 위해 각자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여야의 ‘종파적 이익’ 때문에 국민 불신은 높아졌고 결국, 정치권 신뢰는 물론 대권주자에 관심을 잃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를 뒷받침하듯 한국갤럽이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11명에 ‘국회가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를 물은 결과, ‘잘못하고 있다’가 90%에 육박한 바 있다.

◇ 원인3-여야 대권주자 후보 윤곽 불투명

또 다른 분석으로는 차기 대선이 오는 2017년에 치러지기 때문에 차기 대선 후보에 대한 관심이 떨어진다는 점이 무응답층 상승 요인으로 꼽혔다. 대권주자에 관심을 기울이기엔 시기적으로 이르다는 분석인 셈이다. 또 여당과 야당 모두 차기 대선 후보가 뚜렷하게 윤곽을 드러내지 않은 상황에서 차기 대권 지지율 조사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서울에 거주 중인 임모(26·대학원생) 씨는 “차기 대선이 2017년에 치러지는 점과 여야의 뚜렷한 대권 후보가 선출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여당의 차기 대권 후보 누구’, ‘야당의 차기 대권 후보 누구’를 언급하는 건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