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손지연 기자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19일 여당 내에서 한동훈 당 대표가 내놓은 ‘제3자 채상병 특검법’에 대한 논의가 전혀 이뤄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당론이 굳건해 “(제3자 특검법은) 전혀 논의가 안 돼 있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에서 “지금 당내에서는 ‘(제3자) 특검법을 논의하자’는 얘기 자체가 안 나온다”며 “당론이라는 게 있기 때문에 공수처 수사를 지켜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수처 수사를 보면 법원 영장을 받아서 대통령실 전화, 대통령 전화까지 (통화 기록을) 다 받았지 않았나”라며 “공수처 수사가 잘 되고 있는데 3자 특검이니 뭐니 얘기할 단계가 아니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전날(18일) 이재명 신임 대표가 취임 일성에서 한 대표에게 대표회담을 제안하며 ‘채상병 특검법을 논의하자’고 밝힌 바 있다. 이 대표는 “민주당 발의 특검안이 최선이라 생각하지만, 한 대표님도 제3자 특검 추천안을 제안한 바 있으니, 특검 도입을 전제로 실체 규명을 위한 더 좋은 안이 있는지 열린 논의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에 한 대표가 난처한 입장에 처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잇따라 나왔다. 한 대표가 취임 이후에도 ‘제3자 특검법’을 추진하겠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지만, 친한계에서조차 ‘실익이 없다(장동혁 최고위원)’, ‘야권의 재추진을 보고 대응해도 늦지 않다(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는 등 소극적인 입장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윤 의원은 “한 대표가 전당대회 경선 기간 중에 ‘제3자 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했는데) 너무 아쉬운 대목”이라며 “아마 당론과 한 대표의 개인적인 의견 피력간 조정해 나가는 절차가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이어 “현재 당론을 무시할 수가 없는 단계”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16일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가 ‘제3자 특검법을 열흘 안에 발의해 달라’고 한 것에 대해선 “한 대표 체제를 흔들고 여권을 분열시키기 위한 전략”이라며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고 단언했다.
관련기사
- ‘제3자 추천 특검법’ 내주 분수령
- ‘김건희’ 명시한 3번째 채상병 특검법 발의… ‘직진’ 택한 민주당
- ‘제3자 채상병 특검법’ 속도조절론 솔솔
- 장동혁, 제3자 특검법 ‘실익 없다’고 생각한 이유
- 특검법‧국조‧민생입법 논의 ‘답변 요구’… 민주당‧혁신당, ‘한동훈 압박’ 본격화
- 당 장악한 한동훈, '제3자 채상병 특검법' 추진할까
- 민주당, 한동훈에 ‘채상병 특검법 발의’ 압박
- ‘채상병 특검법’ 부결… 한동훈표 ‘제3자 특검법’ 발의될까
- 당정, ‘온누리 상품권’ 역대 최대 규모 발행 예정
- 민주당, 채상병 특검법 ‘한동훈 압박’ 강화… “제보 공작 의혹도 수용 가능”
- 여야, ‘대표 회담’ 주도권 선점 신경전
- 박정훈, ‘제3자 채상병 특검’ 국민 약속
- 채상병 특검법 vs 금투세 폐지… 여야의 ‘압박 정치’
- 한동훈, ‘제3자 특검법 발의’ 압박에 “민주당이 발의하라”
- 박정훈 “민주당 ‘제3자 채상병 특검법’은 ‘수박 특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