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메시지 등 안내에 따라 설치한 가짜 앱 화면. <금융감독원 제공>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최근 A씨는 모 저축은행 상담원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대출 상담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직원은 A씨에게 휴대폰에 문자메시지(URL 포함)를 보내 해당 저축은행 앱을 설치하라고 유도했다. 이후 A씨는 기존 대출금을 상환해야 대출이 가능하다는 말에 지정된 계좌로 수천만원의 돈을 입금했다. 해당 내용을 금융회사에 전화을 걸어 확인한 만큼 A씨는 별다른 의심을 품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A씨는 자신이 사기를 당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전화를 건 직원은 금융회사를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었다. A씨가 설치한 앱도 범죄 수단이었다. 해당 가짜 앱 설치로 A씨의 휴대전화는 악성코드에 감염됐고, A씨가 건 전화는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에게 연결된 것이다.

최근 가짜 금융회사 앱을 설치하게 한 뒤, 이를 악용하는 사기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가짜앱 관련 사기 신고는 지난 7월 32건에서 8월 79건으로 두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달 153건이나 접수됐다.

이같은 사기는 전화와 가짜 앱으로 소비자를 안심시키면서 햇살론 등 저금리 서민지원 대출을 명목으로 금전을 편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피해자가 앱을 설치한 뒤 금융회사나 금감원 전화번호로 확인전화를 걸면 사기범에게 연결돼 마치 대출심사가 진행중인 것처럼 안내하는 교묘한 수법을 쓴다. 이후 사기범은 기존 대출금 상환, 공탁금, 법무사 비용, 보증보험 등 다양한 명목으로 금전을 빼내간다. 이들은 가짜 앱을 통해 피해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직장 등 개인정보까지 탈취한다.

이에 금감원은 이같은 사기 범죄 수법을 알리고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금감원 관계자는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메시지의 인터넷 주소, 애플리케이션 등은 확인하거나 설치하지 말고 보는 즉시 바로 삭제해야 한다”며 “휴대전화에서 ‘알 수 없는 소스’를 통한 앱 설치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어  “대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면 악성코드 감염 우려가 없는 유선전화 등으로 금융사에 확인하는 것이 좋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