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당 지도부 지도체제 개편을 두고 갈등 중이다. /뉴시스
자유한국당이 지도체제 개편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최영훈 기자] 자유한국당이 차기 지도부의 ‘지도체제’ 개편을 두고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갈등을 빚고 있다. 당권 주자들이 내년 2월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도체제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당 대표 권한을 두고 차기 당권 주자들의 입장이 제각각이다.

현재 한국당은 ‘단일지도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지난 2016년 8·9 전당대회부터 채택된 지도체제다. 단일지도체제 장점은 당 대표에게 사실상 모든 권한이 집중되어 의사결정이 빠르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단일대오로 당 전체가 일사분란하게 움직인다.

반면, 집단지도체제 하에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 권한이 사실상 동일하다. 이에 당 대표는 ‘대표 최고위원’으로 불리고, 의사결정 역시 최고위원간 논의 후 이뤄지게 된다. 이는 의사결정이  ‘민주적'이다. 이 때문에 당 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정당개혁위원회가 지난 11월 공개한 당원 설문조사에서도 64%가 집단제도체제를 선호했다.

◇ 비대위 ‘중재안’ 제시

앞서 언급한 두 지도체제에도 단점은 있다. 단일지도체제에서는 당 대표의 권한이 대폭 강화된 탓에 ‘일방통행식’ 결정으로 당 지도부 운영 자체를 의미없게 만들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 당 대표 권한을 축소한 ‘집단지도체제’이다.

집단지도체제에서는 당 지도부의 의사결정이 더딜 수 밖에 없다. 한국당 최고위원회는 당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4명의 선출직 최고위원, 당대표 지명직 최고위원, 청년최고위원 등 총 9명으로 구성된다. 이들이 100% 합의해 의사결정을 하는 구조로 계파별 입장차가 생길 경우 어느 것도 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한 2014~2016년 김무성 대표 체제에서는 김 대표가 친박계 최고위원들과 현안마다 부딪혀 당 운영이 표류했다. 집단지도체제가 지난 2016년 4·13 총선 패배 원인으로 꼽히기도 했다. 이로 인해 그해 8·9전당대회에서 단일지도체제를 채택한 바 있다.

결국 어떤 지도체제를 선택하더라도 장·단점이 있는 만큼 의원들 선택 역시 제각각이 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주호영 의원도 이날 오전 비상대책위원회·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집단제도체제와 단일지도체제 장단점에 대해 언급한 뒤 “(당 대표 권한을 어느 정도 줄 지) 정교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고, 이 범위를 비대위가 심도 있게 해봐달라”고 말했다.

한국당은 지난 19일에 이어 26일, 의원총회를 열고 차기 지도부 ‘지도체제’와 관련한 소속 의원 의견 수렴에 나섰다. 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단일지도체제 ▲ 집단지도체제 ▲단일지도체제+권역별 최고위원 ▲단일지도체제+당대표 권한 축소 등 현재까지 마련한 네 가지 안을 의총에 보고했다. 비대위는 이날 의총 직후 브리핑에서 소속 의원 의견 청취 후 1개 안으로 좁히고 절차를 거쳐 최종 의결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